[협동조합 시대 본격 개막] 5명 모이면 설립…신사업 모델로 주목
한경비즈니스 | 2012.12.07 (금)
2011년 12월 2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협동조합기본법이 1년여 만에 발효됐다. 이 법에 따라 12월 1일부터 5명 이상이 모이면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다. 금융 분야를 뺀 모든 업종과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 소규모 소자본 창업이 가능할뿐더러 지역 단위의 서비스산업도 할 수 있다. 기존 협동조합에서는 300~1000명 이상일 때만 협동조합을 세울 수 있었지만 새롭게 법이 생기면서 협동조합 설립 문턱이 낮아졌다. 본격적인 협동조합 시대의 막이 오른 셈이다. ..이하 전략
아시아뉴스통신 2012.12, 06 (목)
전국 최초로 통신소비자가 스스로 뭉쳐 이동통신서비스 공동구매를 추진하고 있는 전국통신소비자 (협동조합)이 협동조합 기본법이 발효된 첫주 첫날 제도권 진입을 본격선언하며 인천시청 생활경제과에 설립신고를 마쳤다.
설립신고를 마친 전국통신소비자(협동조합)은 지난 10월16일 , 인천시청 기자회견실에서 ‘통신비 인하 100만인 서명운동을 시작하며...’란 제목의 기자회견을 했던 ‘(가) 통신소비자 생활협동조합의 정통성을 계승해 지난달 25일,오후 2시30분 한국기독교 장로회 성신교회 (남동구 만수동 소재)에서 새로이 창립총회를 마쳤다.<중략>
조합측 관계자는 "통신사 준비가 마쳐지는 대로 본격적인 홍보와 마케팅 활동을 위한 기자회견을 다시 공지할 계획이며 , 제도권 내에서 합리적인 통신시장 구축을 위한 활동도 같이 병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1면3단 2012.11.26 (월)
통신·주택·자영업, 이제 협동조합으로...'1호 협동조합'을 꿈꾸는 사람들
#매달 10만 원 넘는 돈을 통신사에 꼬박꼬박 갖다 주면서 스마트폰을 대체할 만한 대안을 찾던 사람들이 의기투합했다.
대형이동통신사에 근무하던 박용규씨는 직장을 박차고 나와 MVNO(알뜰폰) 제도를 활용한 '시민이동통신' 설립에 나섰다. 초기 자본금을 60억 원으로 설정하고 연간 10만 원 이상 통신료 절감을 원하는 소비자 6만 명을 모집키로 했다.
소비자들이 출자해 상품의 기획단계부터 참여하고 협동조합이 대리점을 대신해 가입자를 모집하는 기능을 한다. 연간 1000만 대씩 양산되는 중고폰도 협동조합에서 수거해 활용하고 통신비도 통신망 원가에 이윤을 얹어 기존의 20~50%까지 낮춰 제공할 계획이다.
박씨는 "시민이동통신은 스마트폰 탐닉에 따른 인간소외, 보행 및 운행사고, 공공장소에서의 소음 발생, 휴대폰 범죄, 과소비, 환경오염 등 기존 통신생활의 갖가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MVNO는 등록제이기 때문에 협동조합형태로도 시도할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이다. 하지만 중고단말기를 수거해 재활용하려면 기술인력을 확보해야 하는 등의 철저한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는 게 전문가 지적이다..이하 전략
=================================================================
***하단의 태그 중 `MVNO` 를 클릭하시면 알뜰폰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적 자본주의] 전문가가 본 협동조합의 가능성과 대책 (0) | 2012.12.11 |
---|---|
앞서가는 미·유럽은…이탈리아 볼로냐, 시민 3분의 2가 조합원 (0) | 2012.12.09 |
[협동조합 시대의 개막과 서울시] 속속 조합설립 신고 (0) | 2012.12.07 |
전국서 협동조합 '붐', 지자체도 활용방안 모색 (0) | 2012.12.07 |
이동통신 소비자 협동조합, 인천시에 설립신고 (0) | 201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