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적 자본주의] 전문가가 본 협동조합의 가능성과 대책
국민일보 2012.12.09 (일)
자본주의 틀 속 출발 어렵겠지만 NGO 등서 운영땐 더 효율적일듯
협동조합이 승자독식의 시장 논리에서 벗어나 상생과 조화를 추구하는 윤리적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달부터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되면서 5인 이상만 모이면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어 절차도 간편해진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협동조합이 뿌리내릴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양적 성장 대신 질적 성장이 중요시되는데다 특히 대선을 앞두고 경제민주화가 화두로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경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원은 “협동조합은 경제민주화와 같은 맥락에 있다”면서 “자본주의가 약육강식으로 흘러가면서 자체적인 자정 능력이 없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영업자들도 협동조합을 만들 수 있고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특수고용인들도 자신들의 권익을 위해 힘을 갖추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장이 담당하지 못하는 영역을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 같은 제3섹터에서 담당할 수 있다”면서 “예를 들어 종교단체나 비정부기구(NGO)에서 보육·의료서비스를 담당한다면 시장 메커니즘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연구위원은 고용의 측면에서도 “기업은 고용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가겠지만 보통 협동조합은 이익을 줄인다”면서 “경기변동에 따른 일자리 감소가 훨씬 적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동조합을 통한 일자리 창출 (0) | 2012.12.11 |
---|---|
공정무역·생활협동조합, 상생과 공정… 공동 이익 추구하는 ‘대안경제’ (0) | 2012.12.11 |
앞서가는 미·유럽은…이탈리아 볼로냐, 시민 3분의 2가 조합원 (0) | 2012.12.09 |
[협동조합 시대 본격 개막] 5명 모이면 설립…이동통신 소비자 협동조합 (0) | 2012.12.09 |
[협동조합 시대의 개막과 서울시] 속속 조합설립 신고 (0) | 201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