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2013.06.01(토)
재화·서비스 공동사용으로 무분별한 소비 줄여… 지자체도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 나서
‘소유’하지 말고 ‘공유’하자! 2011년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세상을 바꿀 10가지 아이디어’(10 Ideas That Will Change the World)에 ‘공유’(sharing)가 꼽힐 정도로 공유경제가 주목받고 있다. 공유는 내가 가진 물건이나 지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함께 사용하면서 무분별한 소비를 줄이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공유 정신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기업이 대기업 위주의 한국 경제에 신선한 자극을 줄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에서는 벤처기업 수준이던 에어비앤비, 집카 등 공유기업이 대기업 반열에 올라서는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다. 한국에서도 공유경제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지자체도 공유경제 활성화에 힘을 더하고 있다. ‘공유도시 서울’을 표방하면서 공유경제 활성화에 힘쓰고 있는 서울을 시작으로 부산, 강원도 등 여러 지자체가 공유경제를 지자체의 과제로 내놓았다. 특히 서울은 27개의 공유경제 기업을 선정해 재정·행정 지원을 하면서 공유경제 기업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가 선정한 공유경제 기업은 어떤 식으로 공유경제를 현실화하고 있는지 찾아가봤다.
<중략>
렌탈서비스보다 효율성 훨씬 높아
공유경제(Sharing Economy)는 활용되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 등 유무형의 자원을 공유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공유경제는 언뜻 렌탈서비스와 흡사하다. 공유경제와 렌탈서비스의 차이점에 대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Creative Commons Korea·자발적 공유의 표시방식을 통해 저작자의 권리를 최소화하여 자신의 창작물을 인류의 공동자산화하는 운동을 펼치는 단체)를 이끌고 있는 윤종수 서울북부지방법원 부장판사는 4가지 차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윤 부장판사는 “공유경제의 핵심 키워드는 연결이다. 인터넷을 통해 참여자가 늘어나고 서로의 재화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적소에서 필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는 효율성, 자신의 이야기를 함께 공유한다는 참여정신이 공유경제의 특징”이라며 “무엇보다 공유경제의 가치는 렌탈서비스가 따라올 수 없다. 내것을 가지고 사람들과 공유해서 효율성을 이끌어내는 가치는 기존 경제학에서 얻을 수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유경제의 움직임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겪은 후 소유의 경제에 대한 반성이 일기 시작한 것이 시작이라는 분석이 많다. 미국에서는 공유경제 기업이 대기업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하는 사례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집카(Zipcar)다. 2000년 유치원 학부모로 만나 집카를 창업한 로빈 체이스와 안처 다니엘슨은 시간제 예약 서비스와 원하는 곳에서 빌리고 반납할 수 있는 자동차 공유사업을 구상했다. 12대의 차로 시작한 집카는 2012년 말 77만명의 회원을 두고, 연매출 2억79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2013년 1월 미국 렌터카업체 에이비스에 5억 달러에 인수됐다.
또 다른 자동차 공유업체인 ‘릴레이라이즈’(RelayRides)의 경우 개인과 개인을 연결하는 자동차 공유사업으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어떤 이가 차를 공유하고 싶어하는지 모바일이나 웹으로 확인하고 대여할 수 있는 서비스다. 대부분 회의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이 서비스의 미래가치는 대기업이 확인해줬다. 2011년 GM과 구글이 릴레이라이즈에 전략적인 투자를 하면서 공유경제의 가능성을 확인시켜줬다.
2008년 8월 서비스를 시작한 세계 최대 숙박 공유서비스 에어비앤비(AirBnB)는 2013년 현재 192개국 3만5000여개 도시로 확대됐다. 집, 별장 등 임대 가능한 공간을 인터넷에 올려놓으면 여행자나 일 때문에 그 지역을 방문하는 이들이 이용하는 서비스다. 투자사들은 에어비앤비의 가치를 13억 달러로 인정했다.
산업은행 조사분석부 권애라 선임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독일이 가장 빠른 속도로 공유경제가 성장하는 나라로 꼽힌다. 2012년 현재 독일 전체 인구의 12%가 공유경제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자전거 및 자동차의 공유서비스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2012년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가 22만명에 도달했다. 공유 아이템도 가정용공구, 중장비, 업무공간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됐다.
한국에서도 다양한 공유경제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서울시는 공유경제를 확대하는 데 노력하는 지자체로 꼽힌다. 지난해 9월 박원순 서울시장은 ‘공유도시 서울’을 선언하면서 ‘서울특별시 공유 촉진 조례’를 제정했고, 민·관 거버넌스인 ‘서울특별시 공유촉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서울시 이계열 혁신기획팀장은 “자본주의가 소유라는 관점을 강조하다 보니 자원이 낭비되는 부작용을 낳았다. 공유경제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라며 “서울시가 지자체 중에서는 처음으로 공유경제 활성화를 시도하고 있다. 지자체는 공유경제의 생태계를 만들어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공유경제가 활성화되면 청년 일자리 창출도 되고, 경기침체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내역
서울시, 유휴공간을 민간에 개방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경제 5대 핵심산업]창조경제 성장엔진 ‘빅5’를 가동하라 (0) | 2013.06.03 |
---|---|
크라우드펀딩, ‘창조경제 도우미’로 정착하나 (0) | 2013.06.03 |
유비쿼터스와 SNS를 기반으로 다양한 공유경제 사업모델이 생겨나고 있다 (0) | 2013.06.02 |
공유저작물 자원화하자-안문석 국가DB포럼 대표의장ㆍ고려대 명예교수 (0) | 2013.06.02 |
[스크랩] 글로벌 창조경제 리더에게 듣다 `존 호킨스` (0) | 201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