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6면 2012.20 (토)
커버 스토리 - 공유경제의 시대
세계는 '협력적 소비' 열풍
숙박교환사이트 '에어비앤비', 192개국 2만7000여 도시 연결…하루 3만5000건 거래
협력소비 시장 5400억弗 규모…서울도 '공유도시' 선포
‘실리콘밸리를 집어삼킨 메가트렌드.’ 미국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투자가인 론 콘웨이는 ‘공유 경제’ 열풍에 대해 소개하며 이같이 표현했다. 콘웨이는 “최근 실리콘밸리에서 다양한 공유경제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다”며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협력적 소비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은 최근 “과잉 소비 시대의 종말이 다가오고 있다는 신호탄으로 소유를 넘어 공유 시대가 새롭게 열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타임지는 ‘세상을 변화시키는 10대 아이디어’ 중 하나로 ‘협력적 소비’를 꼽기도 했다.
◆거대한 물결 ‘협력적 소비’
<중략>
포천은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와 유럽 재정위기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보는 이들도 많았지만 하나의 거대한 물결로 다가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전 세계 협력적 소비 관련 시장 규모는 5400억달러에 달한다”며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리콘밸리의 공유경제 업체엔 벌써 50억달러의 투자자금이 유입됐다.
◆SNS 통해 ‘신뢰’ 확보, 시장 규모 커져
공유경제 업체들의 비즈니스 모델은 렌털 업체들과 다르다. 렌털은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재화 등을 판매한다. 하지만 공유경제 업체는 개인 대 개인의 거래를 중개해 줄 뿐이다. 공유경제 업체는 소유자와 이용자를 연결해 주는 플랫폼을 운영하고, 수수료를 받을 뿐이다.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해 ‘신뢰’ 문제를 극복하고 있는 것도 차별화된 점이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을 통해 개인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 마치 이웃끼리 거래하는 느낌을 주도록 하는 것도 강점이다.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들이 SNS에 각종 평가를 올리면 새로운 소비자들이 이를 보고 구매 여부를 결정한다.
<중략>
■ 공유경제
sharing economy. 활용도가 낮은 물건이나 부동산을 다른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해 소유자 입장에선 효율을 높이고, 구매자는 싼값에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협력적 소비’를 말한다. 2008년 로렌스 레식 하버드대 법대 교수가 처음 도입한 개념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민주화-정형근 교수(경희대 로스쿨) (0) | 2012.10.26 |
---|---|
'공유경제' 소셜대여 이용해보니 "사는 것보다 낫네" (0) | 2012.10.24 |
SNS를 통한 공유경제(Sharing Economy)의 확산 (0) | 2012.10.22 |
소유하는 'me 제너레이션' 넘어, 공유하는 'we 제너레이션' 시대 왔다 (0) | 2012.10.20 |
불황극복의 새 대안, 공유경제 (0) | 201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