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IMF, 한국 가계부채(1400조원) 급증 경고...금리 상승 땐 위험 봉착

배셰태 2015. 12. 11. 19:23

IMF도 한국 가계부채 급증 경고음

세계일보 2015.12.11(금) 오현태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1&oid=022&aid=0002972913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12/11/20151211003115.html?OutUrl=naver

 

“민간부채 증가 통한 성장… 금리 상승 땐 위험 봉착”/ 李 한은총재 “불확실 커져”

 

 

한국 가계대출이 향후 금리 상승에 따른 위험을 겪을 수 있다는 경고음이 국제통화기금(IMF) 전문가의 입에서 나왔다.

 

딩딩 IMF 아태국 선임연구원은 11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국은행·IMF 공동 주최로 열린 ‘아시아의 레버리지(차입투자): 과거로부터의 교훈, 새로운 리스크 및 대응 과제’ 콘퍼런스에서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성장은 민간부채 증가를 통해 이뤄졌다는 공통점이 있다”며 신용위험지표와 신용갭(부채가 추세에서 벗어난 정도) 분석 결과를 소개했다.

 

딩 연구원은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부채 위험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수준에 근접해 미국과 유럽보다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별 분석 결과에서 “한국의 가계대출은 대체로 경기 순환 및 구조적 요인을 반영한 것이어서 가계의 대차대조표 측면에서 별 다른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이자율 상승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금리상승에 따라 가계 부채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한계가구 증가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가계부채는 올해 3분기 말 1166조원인데 여기에 사실상 가계부채인 소규모 자영업자 부채를 더하면 1400조원가량에 달한다.

 

 

딩 연구원은 아시아 국가들의 기업 대출과 관련해선 “중국, 일본, 인도, 한국에서 기업대출이 소수의 회사에 집중돼 있다”며 “이들 회사는 유동성, 수익성이 낮아 앞으로 금융 안정을 저해하는 위험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부채 증가에 대한 정책 대응은 주로 신용 취약성을 해소하는 데 집중해야 하지만 급격한 신용 축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도 경계해야 한다”“거시 건전성 정책, 통화금융 정책을 포함한 모든 거시경제 정책들의 조화로운 운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이날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부채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