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국가들은 저렴한 노동력이 아닌 로봇으로 경쟁하게 될 것이다
인데일리 2015.10.12(월) 박영숙《유엔미래보고서2045》저자 / 유엔미래포럼 대표
<중략> 이미지
‘로봇과 인공지능이 당신의 일자리를 노린다’ 라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한 유명한 연구에서 오늘날의 일자리 중 47%가 2034년이 되면 자동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당신의 일자리가 로봇으로 대체될 가능성에 대해 알고 싶으면 BBC 사이트(http://www.bbc.com/news/technology-34066941)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란다. (작가는 33%란다. 앗싸!)
자동화가 즉각적으로 가장 눈에 잘 들어오는 분야는 제조업이다.
<중략>
최근 종합컨설팅회사인 BCG 퍼스펙티브스(BCG Perspectives)는 세계적으로 로봇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앞으로의 변화를 주도할 알짜배기 네 가지 자동화 산업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여기에는 기계산업과 운송장비 산업, 그리고 컴퓨터와 전자산업, 전자장비, 전자기기, 전자부품 산업이 포함되어 있다.
다른 말로 하면, 팍스콘의 아이폰은 앞으로 로봇이 만들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로봇의 적용을 이끄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는 생산능력과 비용 경쟁력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컴퓨터의 능력과 인공지능의 신속한 발전과 연관되어 있다. 그래서 생산 능력의 확대와 공장 로봇의 비용 절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중략>
BCG 퍼스펙티브스는 향후 10년 동안 로봇 생산량의 50%는 중국과 미국이 소비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생산능력은 무엇이 자동화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고 로봇의 비용과 인건비의 비교는 자동화 도입 시기를 결정하게 된다. 전자산업 제조회사들의 로봇 채택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보다 생산 능률이 높고 평균보다 높은 인건비로 인해 상대적으로 로봇이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여기에 재미있는 사실 하나는, 로봇의 원가가 어떤 수준 이하로 내려가게 되고, 로봇이 인간 노동자보다 생산성이 높게 되면, 인건비의 이점 때문에 최근 수십 년간 이루어져 왔던 오프쇼링(offshoring:아웃소싱하는 하청업체가 국내에 있지 않고 외국에 있는 경우)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미래에 아이폰을 로봇이 만들게 되면 중국에서 생산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다. BCG 퍼스펙티브스에 의하면, 10여 년 전의 중국 인건비는 미국의 1/20 수준이었지만 오늘날 그 간격은 많이 줄어들었다. 한편 위에서 말한 네 가지 산업의 미국에서의 로봇 시스템의 운영비용은 시간당 평균 10$~20$이며 이 원가는 이미 미국 평균 노동임금 이하이다.
BCG는 이러한 로봇 원가가 더욱 낮아지게 되고, 로봇의 능력은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분야에서 현재에는 로봇이 담당하고 있는 생산 비율이 10% 미만이지만 2025년이 되면 전체 생산의 40~45%를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인건비가 상승하고 로봇의 원가가 하락하게 되면, 중국 공장들이 더욱 많은 로봇을 채택하게 될 뿐 아니라 미국 회사들도 일부 제조공장을 본국으로 다시 가져오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더 많은 사람들을 고용하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은 로봇화 비율이 어느 나라보다 빠르게 증가하여 2025년이 되면 제종업의 40%가 로봇에 의해 자동화될 것이다.
<중략>
미래에는 대규모 제조업을 가진 국가들이 인건비로 경쟁하지 않고 로봇의 적용을 통해 경쟁하게 될 것이다. 미래의 제조업 동력은 이러한 국가들이 로봇혁명을 얼마나 빨리 수용하고 신속하게 이동했는지에 달려 있을 것이다.
출처 :
http://singularityhub.com/2015/10/07/soon-countries-wont-compete-for-cheap-labor-but-robotics/
제이슨 도리어 2015. 10. 7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무더기 퇴직 시작된 베이비부머 세대...가장 빨리 늙는 도시 울산 (0) | 2015.10.14 |
---|---|
글로벌 소셜미디어, 포털로 진화하나...국내 언론사에 주는 시사점 (0) | 2015.10.13 |
기술 혁명이 향후 20년 안에 전 세계 힘의 균형을 바꾼다 (0) | 2015.10.13 |
한국 경제의 성장 한계 돌파를 위한 4대 산업혁신전략-한국공학한림원 (0) | 2015.10.13 |
정부, 12일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 공식화…엇갈린 각계 반응 (0) | 201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