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다음', 朴정권에 비판적인 '아고라'도 사라질까?
서울의소리 2015.09.01(화)
http://www.amn.kr/sub_read.html?uid=21338§ion=sc27
대한민국 포털은 친정부적인 네이버 중심체제로 구축될 것
다음카카오가 이렇게 힘없이 무너질 줄은 아무도 몰랐다. 국내 2위 포털 ‘다음’이, 그 어떤 외압과 입김이 불어 닥쳐도 무너지지 않을 것 같았던 철옹성 ‘다음’이 순식간에 사라졌다.
혹자는 ‘혁명’이라고 부르지만, 사실상 현정권에 충성도가 높은 네이버와 그 네이버 출신들이 다음을 장악하거나 해체시켰다는 점에서 ‘쿠테타’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결국 '다음'의 다음 차례는 다음 사업부를 분사시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트루스토리>에 따르면 카카오톡으로 ‘검색’이나 기타 기능을 제공하고 시간이 지난 뒤 ‘다음’이라는 정통성이 있는 포털도 그 존재를 없애는 수순으로 간다는 것.
실제로 다음카카오는 다음의 기존 서비스들을 차례로 없애나가고 있다. 현 정권에 비판적인 기사 검색어들로 주류를 이뤘던 소셜픽 등도 이미 사라졌다. 마이피플, 클라우드 등 다음이 갖고 있는 고유의 색깔들은 ‘비전도 없고, 가치가 없다’는 이유로 사라진지 오래다.
이처럼 사라지는 서비스들이 속속 증가하면서 사실상 대한민국 포털은 네이버 중심체제로 구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중략>
네이버와 대척 혹은 공생관계(뉴스검색 제휴 등)에 있으면서 다음이 갖고 있는 상징성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카카오가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이럴 경우 현 정부에 가장 비판적인 다음 아고라와 같은 커뮤니티는 카카오 아고라가 되든지, 아예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는 것은 명약관화(明若觀火)다.
다음 매니아들로부터, 혹은 다음 이용자들로부터 느닷없이 주인 노릇을 하고 있는 카카오가 ‘갑질’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SNS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 이유다. 분명한 것은, 박근혜 정부에서 1세대 벤처기업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는 점이다.
다음카카오는 오는 23일 열릴 주주총회에서 사명을 ‘카카오’로 바꿀 예정이라고 1일 밝혔다. 사명이 바뀐다는 것은 모든 틀이 바뀐다는 것이다. 아예 새로운 기업을 만들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 미디어 전성 시대...SNS 기반 방송 서비스도 봇물 (0) | 2015.09.03 |
---|---|
모바일 '올인' 하는 다음카카오...티스토리와 블로그도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다 (0) | 2015.09.02 |
넷플릭스, 훌루, 아마존닷컴 등...미국 스트리밍 업체들이 이룬 '거대한 변화' (0) | 2015.09.02 |
애플과 구글, 넷플릭스, 아마존 등 글로벌 ICT공룡들의 ‘TV 전쟁’ (0) | 2015.09.02 |
이재웅 다음 창립자겸 전 대표 "다음 DNA 소멸되지 않아..새로운 전설 기대" (0) | 201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