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대출' 등 혁신적 서비스로… 美·日 인터넷은행 순항
조선일보 2015.08.19(수) 이신영 기자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5081803994
[한국, 선진국보다 15~20년 늦은 내년 상반기 사업 시작]
-해외 인터넷銀 60여곳 영업 시중은행보다 대출금리 낮추고 골칫거리 중도상환수수료 없애 인터넷 쇼핑몰과 포인트 연동도
-다음카카오·KT 등 출사표 정부, 연내 1~2곳 인가할 계획 핀테크산업 육성 촉매제 기대 "저비용 구조라 성공 확률 높아"
점포 없이 인터넷·모바일상에서 예금·대출·펀드 등 금융 서비스를 하는 인터넷 전문은행이 내년 상반기에 출범한다. 정부는 연내에 1~2곳의 인터넷은행 설립 희망자에 대해 시범인가를 내주기로 했다. 현재 IT기업들과 금융사들은 분주하게 인터넷은행 설립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중이다. 다음카카오·KT·인터파크·SKT 등 메신저·포털, 통신과 유통사업자들이 금융회사들과 손을 잡고 출사표를 던졌다. 선진국에선 이미 미국·유럽·일본에서 1990년대 산업자본의 은행 소유 규제를 풀어 60여곳의 인터넷은행이 운영 중인데, 한국은 선진국보다 15~20년가량 늦었다.
정부가 인터넷뱅크 설립을 서두르는 이유는 과점 상태에서 우물 안 개구리식 비즈니스를 하는 은행업계에 '메기' 같은 자극제가 필요한 상황이고, 금융산업의 미래 먹거리로 여겨지는 핀테크 산업의 육성에 인터넷뱅크가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국내 대표 IT기업들 잇따라 출사표
국내 IT기업들은 각자의 장점을 극대화해 금융업에 뛰어들 계획이다. 3000만명의 '카카오톡' 회원을 가진 다음카카오의 경우. 택시 애플리케이션 '카카오택시', 제휴사인 주식거래 앱 '증권플러스'뿐 아니라 여러 핀테크 업체를 참여시켜 새로운 유형의 인터넷은행 모델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KT도 이동통신 사용자 고객과 자회사 BC카드의 2600만명 고객 정보를 토대로 새로운 고객 신용평가 등급 모델을 검토하고 있다.
<중략>
그렇다면 현재 외국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인터넷뱅크들은 어떤 식으로 영업을 하고 있을까.
◇인터넷뱅크, 선진국에선 이미 성공 사례 많아
<중략>
◇SNS를 활용한 개인 대출 심사
해외 인터넷 전문은행들은 대출 심사 시 고객의 신용등급 자료에만 의존하지 않고, 고객과 온라인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통해 얻은 다양한 고객 정보를 활용한다. 중국 IT업체 텐센트의 경우 올 초 중소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 상품 위뱅크(Webank)를 선보여 8억위안의 대출 실적을 올리고 있다.
성공 요인은 자사가 만든 화물차 기사 전용 애플리케이션 '훠처방(貨車幫)'을 활용한 '화물차 기사 대출'이다. 소비자가 화물차 기사를 앱에서 선택해 고용하는 앱인데, 소비자로 하여금 화물차 기사의 신용도를 직접 평가하게 한다. 평판이 좋으면 일감이 몰리고, 운송 처리 정보를 대출 고객을 선택하는 데 사용한다.
삼성증권 박정환 연구원은 "다양한 고객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신용과 소득이 낮은 화물차 기사를 대상으로도 대출 영업에 성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단순 가격 경쟁'만으로는 인터넷은행이 살아남기 어렵다. 1999년 출범한 미국 넷뱅크의 경우, 낮은 금리를 앞세워 이자만 상환하는 주택대출 상품을 공격적으로 판매하다가 파산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 블로거와 일반 블로거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0) | 2015.08.20 |
---|---|
모건스탠리의 테슬라 찬사, “테슬라가 자율주행기술 주도할 것” (0) | 2015.08.20 |
독자 운영체제 'MIUI'가 있는 샤오미, 국내 진출 ···분당에 첫 매장 열어 (0) | 2015.08.19 |
[IDF 2015] 인텔 "미래 컴퓨팅 핵심은 `센싱` `지능화와 연결` `확장된 개인`" (0) | 2015.08.19 |
페이스북의 자회사인 인스타그램, 국내 SNS 시장 공략 강화 (0) | 2015.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