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창조경제의 핵심, 공간 정보
경향신문 2015.08.12(수) 김선태 국토교통부 국토정보정책관
http://m.khan.co.kr/view.html?artid=201508122057455&code=990304
‘길’은 문화와 문화를 잇고 사회와 사회를 연결하는 교류의 장(場)이다. ‘길 위의 인생’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길은 우리의 과거, 현재 그리고 가야 할 방향을 담고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길을 통한 교류’일 것이다. 본래 길은 교류의 효율성이라는 목적에 의해 만들어져 서로 다른 사회나 문화를 연결해왔기 때문이다. 현재 모든 세계 정보는 공간상에 위치화해서 실시간으로 활용되는 수준까지 와 있다. 공간정보를 통(通)해 산업 전반의 역량과 서비스가 모이게 되고 재투자되는 창조경제 선순환의 생태계로 발전하는 중이다.
이제 창조경제는 길 위의 정보와 그 교류에서 움터야 할 것이다.
<중략>
이처럼 산업 활성화와 미래 먹거리를 위한 공간정보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첫째, 공간정보를 생산·운영·활용하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상호협력하는 거버넌스가 확립되어야 한다. 공급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양방향 소통으로 공간정보 활용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둘째, 정부·공공·민간이 생산, 융합 및 활용하고 있는 공간정보의 단일 채널이 필요하다. 현재 생산·융합·서비스 중인 공간정보 현황이 실시간 공유되어 중복적인 생산보다는 창의적인 비즈니스에 아이디어와 자본이 흘러들어갈 수 있게 IT기반 사회간접자본의 역할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공간정보를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한정된 공간정보 사용자층에서 멈추지 않고 미래 첨단기술 종사자와 상공인까지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어야 한다. 최소화된 자원으로 누구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신규 서비스를 구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간정보의 선순환구조를 위한 공공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공간정보 생애주기에 맞추어 생산부터 활용까지의 모든 단계를 지속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어야 공간정보산업 생태계도 가능하다.
길 위에는 자연스러운 변화가 있다. 그 길을 걷는 사람에게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그 변화 속에는 기회가 있다. 후미진 차고에서 시대변화를 감지한 스티브 잡스처럼 기업가 정신을 살아나게 하는 것은 공공의 책임 있는 지원과 혁신을 용이하게 하는 환경이 기본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버' 음식 배달 서비스 시동...'우버이트'는 국내 배달업체와는 다소 다르다 (0) | 2015.08.19 |
---|---|
공유경제 기업 '우버', 샌프란시스코에서 ‘우버이츠’ 음식배달 서비스 시작 (0) | 2015.08.19 |
공유경제 기업 `에어비앤비`, 프랑스 파리에서 최고급 호텔과 경쟁 (0) | 2015.08.14 |
공유경제 창시자, 로런스 레식 하버대 교수...미국 민주당 경선 출마 선언 (0) | 2015.08.13 |
행복한 살림 살이 사회적경제의 도전과 모색...혁신과 협동, 지역사회 바꾼다 (0) | 201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