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인터넷, 2016-2020년 사이에 지구촌 모두가 연결...극적인 변화가 온다

배셰태 2015. 5. 12. 07:19

지구 탄생 이후 가장 극적인 변화는 2016-2020년 사이에 온다. 세상이 하나로 묶이면서 1조개 센서, 5G, 인터넷이 아프리카 중국 개도국 모두 연결

인데일리 2015.05.10(일) 박영숙《유엔미래보고서 2045》 저자 / 유엔미래포럼 대표

http://www.indaily.co.kr/client/news/newsView.asp?nBcate=F1001&nMcate=M1004&nIdx=28364&cpage=1&nType=1

 

▲ 인터넷.org 제공

 

글로벌경제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는 2016-2020년 사이에 양적으로 발생한다고 피터 디아만디스가 주장한다. 그의 주장처럼 현재 30억명이 사용하는 인터넷을 70억명이 사용하면서, 모두가 연결되고., 모두가 5G를 이용하면서 수많은 것들이 새로 탄생하고 사라진다.

 

30억에서 50억명의 인구가 지금까지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아무것도 구입하지도 못했고 아무것도 업로드하지 못했고 아무것도 발명하여 온라인상에서 판매하지도 못했던 완전히 새로운 고객이 온라인에 들어온다. 이로서 글로벌경제는 갑자기 온라인 상에서 메가급 폭발을 하게된다.

 

이렇게 온라인에 들어와 경제활동을 처음으로 시작하는 사라들은 대부분 아프리카, 인도, 중국, 개발도상국 사람들이고 소득이 매우 낮은 인구들이다. 그런데 이들이 막 인터넷을 배우고 사용하고 인터넷에서 물건, 정보, 서비스를 구매하게되어 글로벌경제에 수조원의 새로운 자금이 쏟아져 들어오게된다. 그런데 아직 아무도 여기에 대해서 말하는 사람이 없다고 피터 디아만디스는 놀라워한다. 그가 유일한 이 새로운 경제합류인구를 발견한 것이다. 그는 이들을 "일어서는 수십억명'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우리는 이제 우리가 그들에게 무엇을 팔 것인가 혹은 그들이 우리와 어떻게 경쟁하러 달려올지를 생각해봐야 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20년전 우리가 모뎀으로 인터넷을 불러오던 그 느린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들은 세계에서 새롭게 깔린 1메가 또는 5G모바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그들은 이제 3D프린터도 알고, 구글이나 아마존클라우드를 사용하거나 AI 인공지능을 가진 왓슨슈퍼컴퓨터,크라우드펀딩, 크라우드소싱 등 모든 정보를 다 알고 온라인에 들어온다. 똑똑한 소비자들이다.

 

 

새롭게 온라인에 들어오는 40억명의 소비자들 즉 '부상하는 수십억명'이 우리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다주며 어떤 산업을 가져가며 어떻게 글로벌경제를 바꿀 것인지를 알아야한다.

 

글로벌 연결 기술

인터넷은 지금까지는 부유층만 접속시켰다. 2010년 18억명이 연결되었고, 지금은 29억명이 연결되었다. 즉 지구촌 인구 74억 중에 아직도 40억명이 인터넷에 연결이 안된 것이다. 그러나 2020년에는 전 세계가 연결된다. 왜냐하면 전 세계를 연결시키기위해 수백억 달러를 퍼붓고 있는 4가지 주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1. 페이스북과 Internet.org

 

<중략>


2. 스페이스X 글로벌 별자리 프로젝트

 

<중략>

 

3. 구글의 프로젝트 룬

<중략>

 

4. oneWeb - 버진그룹 (Virgin Group)과 퀄컴
 

<중략>

 

연결된 세계의 시사점

70억명 이상이 연결된다는 것은 엄청난 의미를 가진다. 그래서 우리는 그런 상황에대해 미리 이야기하고 대안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들이 가지고 오는 수익이나 매출 수십억불에서 수조원 이상이 글로벌경제로 흘러들어올 것이다.

 

이들은 한번도 은행에 돈을 저금해보지 못한 사람들로서 그들도 은행에 돈을 넣어야 하거나 아마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발명과 혁신의 폭발을 가져올 수 있는 사람들이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을 만들 필요가 생길 수도 있으며, 새로운 엄청난 글로벌 경쟁의 물결을 일으킬 수도 있다.

 

한국이 관심 가질 곳


<중략>

 

다양한 모바일 융합서비스 등장: 증강현실/가상현실, 초고정밀 위치기반 서비스, 홀로그램 서비스,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등 모바일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모바일 융합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수요 또한 급증한다. 증강현실, 가상현실, 실시간 온라인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실시간 (real-time) 인터랙티브 (interactive)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증가하여 저지연 5G 무선통신 서비스의 제공이 꼭 필요하다.

 

이런 분야에서 한국이 5G 시장을 선도해나가기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이다. 한국은 이미 2018년 평창올림픽시에 5G 기술을 한국에서부터 구현시키겠다고 큰소리를 친 상황이어서 한국이 이 분야에 강자가 되면 수많은 일자리가 새롭게 탄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