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버(uber), 혁신기술과 법제도 사이의 충돌 '우버x'
한국경제 2015.04 13(월) 장순관 기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4136502C
<중략>이미지
<중략>
2013년 서울시 '공유 촉진 조례'는 시민이 주축이된 공유도시 구현을 위해 제도와 기반을 마련 하겠다는 취지다.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지 말고 함께 사용하자, 자신의 남는 시간도 기부하여 함께하는 공유도시를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말 그대로 공유경제다.
그런데 갑자기 서울시에 '우버'라는 듣도 보도 못한 새로운 서비스가 나타났다. '우버'는 '우버캡'이란 이름으로 설립되어 2010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처음으로 출시됐다. 그리고 2014년 10월 서울에서 '우버택시' 서비스가 시작됐다. 공유경제 개념의 서비스가 탄생한 것이다. 정부도 서울시도 택시업계도 모두 난감했다.
그러나 2014년7월 서울시는 '우버'를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위반을 이유로 불법영업으로 간주하여 운행을 중단 시켰다.
<중략>
그러나 최신 블룸버그 보도에 의하면 지난 달 이동 비용 관리업체 서티파이를 이용한 직장인의 47%가 우버를 사용했다고 전했다.
로버트 느뵈 서티파이 최고경영자는 "우버는 놀라운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했고, 그 결과 많은 사용자들이 우버를 선택했다"고 전했다. 미국에서의 '우버'의 위상이다.
<중략>
그러나 국내에서는 '우버'의 퇴장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우버 고발이 신기술을 가로막는 과도한 조치이자 외국 기업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지적에는 현행법 위반이라 불가피했다고 거듭 밝혔다.
불법이라는 불명예를 안고 퇴장한 '우버' 그리고 법을 지키며 새롭게 등장한 '앱'택시 공유경제와 상생경제의 현주소다. 혁신적인 기술과 구제도 사이의 충돌이다. '우버'로 상징되는 공유경제가 이대로 무대에서 퇴장할지 아니면 다른 배역을 맡고 무대위에 다시 등장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합법적인 제도 안에서 어떤 모습으로 다시 나타날지는 아직 미지수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는 글로벌 공유경제 '골드러시'…우버퇴출 한국은 역행 (0) | 2015.04.15 |
---|---|
공유경제 기업 `우버 영업금지법’...무조건 규제보단 미래지향적 입법 필요 (0) | 2015.04.14 |
공유경제 기업 '우버' CEO, 세번이나 창업한 베테랑…'규제와 견제와의 전투' (0) | 2015.04.11 |
서민·창조경제 해법...세계적인 공유경제 물결에 국내 여야 정치권도 가세 (0) | 2015.04.11 |
이제는 소유 아닌 공유!...스마트폰·SNS 힘입어 활짝 꽃피는 '공유경제' (0) | 201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