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대출 광풍주의보..자칫하면 '근심대출' 된다
매일경제 2015.03.30 (월) 배미정 기자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301411
대출자 70%가 중산층 이하, 월평균 소득 3분의 1 원금·이자 갚는데 써야
단기적으론 소비위축 불가피, 업·저소득가계 타격…빚 돌려막기 우려
◆ 안심전환대출 후폭풍 ◆
안심전환대출 2차분 접수가 시작된 3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소재 국민은행 본점 영업부 대출 창구에서 소비자들이 안심전환대출 상담을 받고 있다. [김호영 기자]
<중략>
안심전환대출에 중산층 이하 대출자(차주)들이 대거 몰리면서 당장 4월부터 차주들의 원금 상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자만 갚던 대출을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는 안심전환대출로 갈아타면서 매월 갚아야 할 금액이 이전보다 2배가량 늘어나기 때문이다. 고소득자나 고정 소득이 있는 직장인은 상관없겠지만 경기를 많이 타는 자영업자나 저소득층 가계에는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적으로 소비 위축은 불가피하며, 경기가 악화될 경우 연체에 따른 '빚 돌려막기'까지 우려되고 있다.
30일 금융위원회가 안심전환대출 차주를 중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안심전환대출 차주들의 평균 소득은 4100만원, 월평균 소득은 341만원으로 도시근로자 귀속 연평균 소득 약 525만원(4인 가구 기준)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도 연평균 소득 6000만원 이하 차주가 약 70%에 달했다며 '중산층 이하' 고객들이 주로 이용했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금융위 설명이 맞다면 과연 안심전환대출로 갈아탄 차주들의 원리금 상환 능력이 충분히 있을까 하는 점이다.
차주들의 평균 총부채상환비율(DTI)은 28.8%로 단순 계산 시 가구당 월평균 상환액이 98만4000원에 달한다. 평균치로만 따지면 매달 월급의 3분의 1을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써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장기적으로 가계의 총이자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겠지만, 단기적으로는 고정된 소득에서 소비를 줄여서 갚는 수밖에 없다.
지난 27일까지 19만가구가 안심전환대출을 이용한 점을 감안하면 매달 안심전환대출을 받은 차주가 갚아야 할 금액은 대략 18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어디선가 지출을 줄여야 한다는 얘기다.
<중략>
2주택자나 고소득자뿐 아니라 소득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중산층 이하의 가계까지 안심전환대출에 과도하게 몰리면서 2차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앞으로 소득이 증대하지 않고 오히려 경기 악화로 소득이 감소해 원금 상환에 문제가 발생하면 당장 마이너스대출로 돌려막기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며 "이렇게 되면 빚 폭탄을 돌려막기하는 셈이 돼 정책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근혜 대통령의 청년들 ‘중동 일자리’ 발언에 조국 서울대 교수의 ‘해법’ (0) | 2015.03.31 |
---|---|
새로운 패러다임 ‘개봉박두’..한계비용 제로 시대의 에너지 정책 (0) | 2015.03.31 |
세계 최고의 교육제도를 갖춘 핀란드의 교육 대개혁, 우리가 주목해야 할 3가지 (0) | 2015.03.30 |
잘 설계한 '사회안전망'으로 불황 속 영국에 300조 원을 안겨 준 ‘비밀병기’ (0) | 2015.03.30 |
저소득층과 다중채무자는 '그림의 떡’… ‘40조 흥행작’ 안심전환대출의 그늘 (0) | 201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