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칼럼]한계비용 제로 시대의 에너지 정책
에너지경제 2015.03.30 (월) 김창곤 한국디지털케이블 연구원장, 전 정보통신부 차관
http://m.ekn.kr/section_view.html?no=128162
<중략>이미지
새로운 패러다임이 다가오고 있다. 먼 미래가 아니라 ‘개봉박두’의 성격이 짙다. 우선 산업혁명의 핵심동력이던 화석연료들이 매장량 고갈과 환경문제로 한계를 드러냈다. 더욱이 2011년 큰 재앙을 낳았던 후쿠시마 원전사태로 인해 원전의 위험성에 인류가 새삼 눈뜨게 된 것도 이 같은 흐름을 재촉하는 요인이 됐다. 친환경적이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확보해야 한다는 다급한 목소리가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기류와 맥이 닿아 있다.
패러다임 전환에는 정치적 배경도 결정적 변수가 되곤 한다. 새로운 에너지원의 발견이 1,2차 산업혁명을 일으킨 원동력이 되었듯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이 경제-사회-정치 시스템 전체에 엄청난 변화를 몰고올 것이 명약관화하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이 갑자기 떠오른다. 그는 선견지명이 뛰어난 학자임이 분명해 보인다. 이미 오래전에 신재생에너지와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결합을 통해 누구나 에너지를 생산-소비할 수 있는 에너지 공유 및 한계비용 제로(Zero)시대를 예견하면서 전 세계가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설파했으니 말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는 특정지역에만 분포돼 있는 화석연료와 달리 어디든 존재하기 때문에 이 같은 시대를 견인하는 핵심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 정부가 태양열과 풍력발전을 비롯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차기 에너지산업의 주도권을 선점해 신산업혁명의 핵심세력으로 거듭나 지구촌 패권 쟁탈전에서 승자가 되겠다는 포석이 깔려있다는 얘기다.
미국 독일 등 선진국들은 이미 ‘에너지 독립국’을 궁극적인 목표로 내세우며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보급에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중략>
하지만 한국의 상황은 너무나 답답하기만 하다. 세계적 흐름과는 동떨어진 원자력발전 위주의 정책에서 한 걸음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정책이 방향성을 잃고 뒤뚱거리는 인상마저 짙어 보인다. 실제로 우리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비율 11% 달성연도를 당초 제시한 2030년에서 2035년으로 늦춘 상태이며, 관련 예산도 2011년 1조원을 정점으로 매년 축소하는 추세다. 오히려 전체 에너지원 가운데 원전 비중을 2013년 27.6%에서 2035년 29%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한다. 독일을 비롯한 많은 선진국들이 안전을 이유로 원전 축소와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나서는 상황과는 달라도 너무 다른 것이다.
<중략>
신재생에너지는 이미 세계 에너지정책의 대세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에너지정책이 원전에 집착하는 세력에 좌지우지돼서는 안된다. 한계비용 제로시대의 3차 산업혁명에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국내 에너지 정책에 전면적인 재검토를 하루속히 서둘러야 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발 특급열차,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46개국 참여 (0) | 2015.03.31 |
---|---|
박근혜 대통령의 청년들 ‘중동 일자리’ 발언에 조국 서울대 교수의 ‘해법’ (0) | 2015.03.31 |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는 안심전환대출 광풍주의보...자칫하면 '근심대출' 된다 (0) | 2015.03.30 |
세계 최고의 교육제도를 갖춘 핀란드의 교육 대개혁, 우리가 주목해야 할 3가지 (0) | 2015.03.30 |
잘 설계한 '사회안전망'으로 불황 속 영국에 300조 원을 안겨 준 ‘비밀병기’ (0) | 201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