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자기계발·동기부여外

[1만 시간의 법칙] 평범한 사람도 꾸준히 10년을 투자하면 성취할 수 있다

배셰태 2014. 11. 14. 14:19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정성을 담아 10년을 꾸준히 하면 큰 힘이 된다. 20년을 성심껏 하면 두려울 만큼 거대한 힘이 된다. 그 일을 30년간 지속하면 마침내 역사가 된다. - 중국 속담

 

■ 1만 시간의 법칙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 앤더스 에릭슨 박사의 연구 결과는 위의 사실들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그는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의 평범한 학생들을 선발해 102개의 숫자들을 기억하는 훈련을 시켰습니다.

 

1초마다 한 개씩 102개의 숫자를 들은 후 정확하게 반복하는 연습이었습니다. 50시간을 연습한 후 테스트 한 결과 네 명 정도가 스무 개의 숫자를 기억했으나, 400시간 연습 후에는 모든 학생이 102개의 숫자를 기억해 냈다고 합니다.

 

에릭슨 박사는 또 만 20세를 기준으로 조사, 최고 수준의 연주자들은 1만 시간 이상, 조금 낮은 기량의 연주자들은 7500시간을 연습했다는 통계를 얻어 연습 시간과 기량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습니다.

 

정성을 담아 10년을 꾸준히 한다는 것. 정말이지 그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일에 정성을 다해 하루에 3시간씩 10년을 투자하면 반드시 그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서양에서의 '1만시간의 법칙'과 정확하게 맥이 닿아 있습니다. 하물며 그 일을 20년 간 성심껏 하고 30년을 지속한다면 가히 새로운 역사를 쓰는 경지에 도달하지 아니 하겠는가요?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 것일까요? 10년은 고사하고 5년, 아니 2-3년만이라도 지극정성을 다해 전력투구해본 적이 한번이라도 있었던가요?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될 때마다 올해는 기필코 해내고야 말겠다고 다짐하는 그 일이 해년마다 달라서야 무슨 성과를 낼 수 있겠는가요? 그 근본원인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요? 목숨을 걸만한 일을 찾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정말 하고 싶고 좋아하는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남들 시선을 의식하고 시류를 쫓아다니기 때문입니다. 내 안에서 찾으려고 하지 않고 밖에서 찾으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성공의 모든 열쇠는 내 안에 있습니다. 나에게 있는 능력을 알아내려고 하지 않고 나에게 없는 능력을 찾아 헤매는 것이야말로 세상을 가장 바보처럼 사는 것입니다.

 

내가 가진 능력 중에서 가장 매력적인 것을 찾아내어 나날이 갈고 닦는 데 정성을 다 하기보다는남들 잘 하는 것 부러워하고 기웃거리느라 아까운 시간과 에너지 다 소진해버리는 것이야말로 세상을 가장 몽매하게 사는 것입니다.

 

남들의 삶을 부러워하지 마세요. 나도 얼마든지 남들이 부러워하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내가 가진 능력 중에서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을 찾아 보세요. 그것은 대부분 하고 싶고 잘 하는 일 속에 있습니다. 그 일을 10년, 아니 5년만 정성껏 해 보세요.조금씩 서광이 비치기 시작하면서 길이 보일 것입니다.

 

남의 인생이 아닌 내 인생을 살아야 합니다. 남들의 길이 아닌 내 길을 가세요.10년을 걷노라면 큰 힘이 되고 20년을 가노라면 거대한 힘이 되며 30년을 지속하면 마침내 역사가 됨을 그대 스스로 세상에 증명해 보여 주세요. 그것만이 그대 인생의 주인이 되는 길입니다.

 

배세태의 블로그 방문을 환영합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