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비즈 2014.01.14(화)
“사람들이 칫솔처럼 매일 여러번 사용할 정도로 유용하고 직관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창조하는 것.”
구글 창업자 래리 페이지(41)는 2011년 최고경영자(CEO)로 복귀한 후 회사의 미션을 이렇게 요약했다. 주주와 고객들을 마주한 컨퍼런스에서였다. 구글은 검색 엔진으로 시작해 컸고, 지금은 광고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지만, 회사의 미래는 검색 엔진도, 광고도 아니라는 얘기였다. 그 이상으로 사람들의 일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이른바 ‘만물 인터넷’ 구상이다.
최근 구글이 잇따라 성사시킨 기업 인수 행보는 그런 구상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14일 구글이 발표한 네스트랩(Nest Lab) 인수는 그 최신 사례로 해석된다.
구글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벤처기업인 네스트랩을 32억달러(약 3조3800억원)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구글 인수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다. 가장 큰 거래는 지난 2011년 휴대폰제조업체 모토로라를 125억달러(약 13조5000억원)에 인수한 것이었다.
- ▲ 애플 '아이팟의 아버지'로 불리는 토니 페델(사진)은 애플에서 나와 네스트랩을 창업했다. /블룸버그
구글의 네스트랩 인수가 특별한 관심을 끄는 것은 이 회사의 창업자가 토니 파델(43)이기 때문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14년 통신가입비 절감과 다양한 요금제 등 이렇게 달라집니다 (0) | 2014.01.16 |
---|---|
미국 연방항소법원 ‘망 중립성 원칙’ 제동 (0) | 2014.01.15 |
[격변의 통신산업] "예측불가" 올해 이통시장, 사상 최대 혼전 예상 (0) | 2014.01.15 |
기술종속 비애… 구글에 뒤통수 맞은 국내 이동통신사 (0) | 2014.01.15 |
[CES 2014 트렌드] 모든 사물이 인터넷과 연결되다 (0) | 2014.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