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은 상상력을 통한 창의력 향상의 도구입니다. 글의 성격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의 글은 생각을 필요로 합니다. 생각, 생각을 하다 보면 생각하는 힘도 길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문학 작품은 상상력을 필요로 합니다. 누구나 상상하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무슨 일에 대한 상상, 누군가를 생각하며 그려 내는 상상, 빈 시간에는 살아 있는 존재라면 어떤 상상이든 하고 있습니다.
상상은 열린 마음에서 나옵니다. 만일 상상력을 기를 수 있는 글을 읽고 싶다면 정확하게 답을 요구하는 글보다는 여러 가지 답이 나올 가능성이 있는 글을 읽는 게 좋습니다.
그리스 신화를 상상력의 보물 창고라고 하는 것은 그 신화에 담겨 있는 상징들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수많은 답들이 나오기 때문입니다.이처럼 문학적인 글은 딱히 정확한 답, 명확한 답을 주지 않습니다. 읽는 이들에 따라 각기 다른 해석을 내놓을 수 있습니다. 자기만의 느낌, 그것이 문학 작품의 답입니다. 딱히 정해지지 않은 답이어서 많은 답이 가능합니다. 그게 문학의 매력이며 문학의 생산력입니다 상상력을 기르고 싶다면 어떤 글을 읽을 때 명확한 답을 찿으려 말고 자신의 느낌, 자신만의 해석을 찿는 것으로 만족해야 합니다. 그래야 발전적인 독서가 됩니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올 때 못 본
그 꽃
이 시는 고은 선생의 <그 꽃>이란 짧은 시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시에서 다양한 해석을 끄집어 낼 수 있습니다. 문학 텍스트를 읽을 땐 정답을 찿을 필요가 없습니다. 자기 느낌이 정답입니다. 따라서 읽는 이들의 느낌에 따라 답은 다양합니다. 그 모두를 인정하는 독서 태도, 그것이 생산적인 독서입니다. 정답없는 것을 보며, 읽으며 우리는 상상력을 기릅니다
상상력, 정답 없는 글쓰기, 그런 글을 쓰는 것도 매력이 있습니다. 그런 상상력이 있어야 물질문명을 발전시키는 데 이바지할 테니까요. 우리가 어떤 글을 읽으면 상상력을 기를 수 있는지 안다면 글 또한 그렇게 쓰면 상상력을 기를 수 있다는 답이 나옵니다.
상상력, 상상의 세계를 마음껏 펼치고 그걸 글로 썼다면 이미 당신은 창의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상상력이 단순히 머리속으로 생각하는 것이라면, 창의력은 그것을 말로 하거나 글로 쓰는 표현 행위입니다. 다시 말하면 흔적이 남는 게 창의력입니다.
옛 그리스 인들이 이야기를 만들어 냈다면 그것은 상상력의 산물이고, 그것을 글로 정리한 호메로스의 표현은 창의력입니다. 하늘을 나는 꿈을 가졌던 이들이 있었다면 그들의 세계는 상상력이고, 그것을 그림으로 구체화한 레오나르드 다빈치는 창의력을 발휘한 것입니다.
이렇게 상상력은 창의력의 원천이 될 수 있지만 그대로 끝나면 공허합니다. 그것을 발표할 수 있는 어떤 형식을 갖출 때 창의력으로 이어집니다. 그 상상력을 보다 생산적으로 옮기려면 글쓰기를 해야 합니다.
그렇게 의도가 있는 상상력은 보다 심층적인 세계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고 그냥 상상에 빠지는 사람은 잡념 수준에 머뭅니다. 처음엔 하찮은 생각으로 시작되는 상상의 세계를 표현하기 시작하면 그 상상이 생산적인 상상으로, 깊이 있는 상상으로 발전합니다. 이렇게 하여 기록되는 것, 표현되는 것을 창의력이라고 합니다. 글은 이렇게 상상력과 창의력을 길러 주는 아주 좋은 도구입니다.
이렇듯 글쓰기야 말로 의사소통의 휼륭한 도구, 정신 건강에 좋은 친구, 보다 생산적인 삶으로 인도하는 좋은 수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즐거운 마음으로 글쓰기에 임해 보세요. 때로 글쓰기가 지겨워질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런 고비를 넘기면서 3년만 습관을 들여 보세요. 그러면 당신도 휼륭한 글쓰기의 달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우선 매일 시간을 정해 놓고 하루 최소 30분에서 한 시간가량 글쓰기를 시도해 봅시다. 정 글이 안 써지면 단 몇 문장이라도 꼭 써 보기를 실천해 봅시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상다반사 > 자기계발·동기부여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셜미디어에서 일어나는 세상의 일을 미적분하라 (0) | 2013.09.26 |
---|---|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에는 ‘목적가치’ 와 ‘수단가치’ 가 있다 (0) | 2013.09.25 |
창조의 시대, 목표 설정을 빨리 할수록 성공도 빨라진다 (0) | 2013.09.24 |
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신를 변화시킬 줄 알아야 한다 (0) | 2013.09.24 |
속도의 시대에는 빠른 자가 크고 강한 자에게 이긴다 (0) | 201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