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고령화 속도 전국 최고 재직 중 전직 훈련 서둘러야"
부산일보 2013.08.13(화)
부발연, 장년층 일자리 보고서
50대 이상 장년층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서는 다양한 고용지원과 적극적인 전직지원 서비스, 정규직 시간제 활성화 등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됐다.
부산발전연구원이 13일 발표한 '부산시 장년층 고용현황과 일자리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몇 년 사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장년층의 복지와 일자리 확대를 위해서는 사회적 차원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지원서비스가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지역 전체 인구 중 50세 이상 장년층의 비중은 2012년 기준 36.3%로 전국 7대 도시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부산의 50대 고용률은 7대 도시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60세 이상 고용률의 경우 오히려 6∼8%포인트 낮았다.
서옥순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부산의 고령화 사회 진입은 7대 도시 평균에 비해 5∼6년 정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현재 50대 이상인 장년층의 일자리 확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심각한 사회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현재 추진 중인 장년층 일자리 사업의 경우 단기간에 약간의 소득을 보장하는 생활형 일자리가 대부분으로, 일자리의 안정성이 보장되고 일정한 소득이 지급될 수 있는 생계형 또는 사회공헌형 일자리 등 맞춤형 고용지원 서비스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은퇴 후 일자리를 위해 재직 중에 적극적인 전직지원 프로그램 제공도 제기됐다.
이와 함께 산업현장과 연계해 재직 중 장년층이 관심 있는 일자리를 직접 체험하고 필요한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등도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장년층의 체력적 한계를 감안해 파트타임 일자리, 격렬한 육체적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자리, 장년층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 등 고용 안정성을 보장하고 4∼6시간 일할 수 있는 정규직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도 제시됐다.
이 같은 일자리로는 지역 명소 스토리텔링, 관광지 안내원, 장년층 여행전문가, 청·장년 취업 상담사, 중소기업 생산직, 노인 돌봄 도우미, 동네 보안관, 아파트 단지 내 택배배달원 등을 꼽았다.
퇴직 기술자와 경력자들이 창업을 할 경우 기술 상품화, 마케팅과 자금조달 등 다양한 지원책 마련도 필요한 것으로 제시됐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비오톱'에 접속, '큐레이터'에 체크인하여 정보를 얻는 '팔로어' (0) | 2013.08.15 |
---|---|
120세 장수시대, '고령자 복지사회'가 아니라 '일하는 건강한 고령사회'가 돼야 한다 (0) | 2013.08.15 |
문간에 닥친 노인(老人) 나라 발자국 소리 (0) | 2013.08.13 |
경제활동인구 고령화 갈수록 심각···50세 이상 비중 35.6%로 사상 최대 (0) | 2013.08.12 |
소셜 웹의 시대, 인류가 맞은 또 한 번의 새로운 르네상스 (0) | 201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