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2013.08.12(월)
50세 이상 비중 35.6%로 사상 최대
경제활동인구 고령화가 심해져 50세 이상 비중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최근 10년 새 이 수치는 12%포인트나 상승했다. 소위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가 포진한 이유도 있지만 그만큼 경제적 여유 부족으로 장·노년층의 경제활동이 활발한 것을 보여준다.
12일 통계청과 금융투자협회,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6월 경제활동인구 2천629만1천명 중 50세 이상이 936만3천명으로 전체의 35.6%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지난 4월(35.2%) 처음으로 35%선을 넘었고 5월 35.5%에 이어 6월 35.6%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10년 전인 2003년 6월 이 비중은 불과 24.0%였다. 최근 10년 새 경제활동인구 중 50세 이상 비중이 11.6%포인트 오른 셈이다. 이 수치는 2010년 3월 30.5%로 30%선을 돌파한 데 이어 상승세를 이어가 작년 12월 33.6%였고 올해 들어 더욱 높아졌다.
경제활동인구 중 60세 이상 비중도 올해 6월 13.6%로 사상 최고였다. 이 수치는 10년 전인 2003년 6월 9.8%에 그쳤다. 정년이 지난 연령인 60세 이상이지만 경제활동을 이어가는 인구 비중이 10년 새 3.8%포인트 커진 것이다.
우리 사회의 거대 인구 축인 베이비붐세대가 50대에 대거 포진한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 유럽 재정위기 등을 겪으며 은퇴를 준비하거나 이미 은퇴할 연령에도 일터로 내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부동산 침체와 저성장으로 자산을 불릴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 쉽지 않아 앞으로 노후 준비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 고령 경제활동인구 증가는 계속될 전망이다. 아직 국내 가계자산의 80% 정도는 부동산이지만 주택 전세가격이 오르는 반면 매매가격은 하락세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 장년층 고용현황과 일자리 확대 방안' 보고서-부산발전연구원 (0) | 2013.08.15 |
---|---|
문간에 닥친 노인(老人) 나라 발자국 소리 (0) | 2013.08.13 |
소셜 웹의 시대, 인류가 맞은 또 한 번의 새로운 르네상스 (0) | 2013.08.11 |
'고령화' 쓰나미가 전 세계를 뒤흔들다! (0) | 2013.08.11 |
`학교 밖으로 사라진 아이들 28만명` 밝혀낸 윤철경 청소년정책硏 선임연구위원 (0) | 201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