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913

[워싱턴 톡/English] 한국 국민 피살 사건…북한 무대응?

[워싱턴 톡/English] 한국 국민 피살 사건…북한 무대응? (VOA 한국어 '20.10.03) https://youtu.be/YEbb0vrB2JE 북한군에 의한 한국 국민 총격 사살 사건이 발생한 지 열흘이 지났습니다. 현재까지 한국과 북한은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위해 어떤 단계도 밟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 국민에게 취한 북한 행동에 대해 국제사회의 비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김정은 위원장의 사과는 사과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북한군의 한국 국민 총격 사살 사건에 대한 후속 조치와 관련해 분석합니다. 진행: 김영교 / 대담: 진 리 (Jean Lee, 우드로 윌슨센터 한국국장), 데이비드 맥스웰 (David Maxwell, 민주주의수호재단 선임연구원) . ========..

[VOA 뉴스] 도널드 트럼프 ‘코로나’ 확진 ‘대선 변수’…쾌유 기원

[VOA 뉴스] “트럼프 ‘코로나’ 확진 ‘대선 변수’…쾌유 기원” (VOA 한국어 '20.10.03) https://youtu.be/XzmX1qseb98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밝혔습니다. 백악관은 현재 트럼프 대통령 부부의 상태가 괜찮다고 밝혔는데, 11월 대선을 한 달 앞둔 상황에서 벌어진 초유의 사태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경쟁자인 바이든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쾌유를 기원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강양우) .

[VOA 뉴스 투데이] 2020년 10월 2일(미국전문가들 “북한군 ‘한국 국민’ 사살…‘유엔 진정서·소송’ 방법”)

[VOA 뉴스 투데이] 2020년 10월 2일 https://youtu.be/QhKhcRIGz0E “북한군 ‘한국 국민’ 사살…‘유엔 진정서·소송’ 방법” / “하원 ‘미한동맹 결의안’ 채택”…“미군 재배치 지지” / 재무부 ‘세컨더리 보이콧’ 경고 등 제재 개정 / “북한 ‘아동 강제 노동 착취’…벽돌·섬유 등 생산” / 국무부 특사 “신형 중거리 미사일 빠르게 개발 중” / “독일 인권단체 ‘선교사 석방 요청’…김정은에 서한” ㅡㅡㅡ 북한군에 의한 한국 국민 총격 피살 사건이 발생한 지 열흘이 넘었습니다. 여러 의문들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북한의 국제법 위반을 주목했습니다. 피해 유족들은 북한을 상대로 유엔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소송을 벌일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ㅡㅡ..

[VOA 뉴스] 미국 전문가들 “중국 견제 목적…‘북한 문제’ 진전 어려워”

[VOA 뉴스] “중국 견제 목적…‘북한 문제’ 진전 어려워” (VOA 한국어 '20.10.02) https://youtu.be/Es1OXL_WSZc 다음 주로 예정된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의 일본과 몽골, 한국 순방은 중국 견제가 주요 목적이라고 미국의 전문가들이 분석했습니다. 미국 대통령 선거를 얼마 남기지 않은 현시점에 북한 문제에서 큰 진전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오택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

[VOA 뉴스 투데이] 2020년 9월 30일(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미안하다’ 사과로 볼 수 없어…책임지는 모습 필요”)

[VOA 뉴스 투데이] 2020년 9월 30일 https://youtu.be/mJJP9I3av5Q “‘미안하다’ 사과로 볼 수 없어…책임지는 모습 필요” / “제재 ‘준수’가 관건…점진적 ‘제재 강화’ 필요” / “국제사회 ‘대북 제재 위반자 최소 46명’ 추적 중” / “10월 한반도 외교전…‘대북 성과’ 기대 어려워” / “북한과 ‘전쟁 직전까지 갔었다’ 주장은 과장” ㅡㅡㅡ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이 북한군의 총격으로 한국 국민이 피살된 데 대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한 말은 사과로 볼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당시 총격을 가한 군인뿐 아니라 고위 당국자가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ㅡㅡㅡ 최근 공개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 보고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