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913

[VOA 모닝 뉴스] 2020년 10월 10일(“노동당 ‘인민대중’ 아닌 ‘수령’…사유화 변질”)

[VOA 모닝 뉴스] 2020년 10월 10일 https://youtu.be/6zt5ygQ6zag “노동당 ‘인민대중’ 아닌 ‘수령’…사유화 변질” / “종전선언 ‘기존 입장’ 반복…필요성 의문” / “미한 안보협의회…‘북한·중국’ 문제 논의될 듯” / 트럼프 “아프간 미군 철수…중국 북한 등 위협 대비” / “북한 사이버 ‘금융 해킹’…미국 법무부 처벌 집중” / “북한 ‘농업생산량’ 감소…예상보다 클 것” ㅡㅡㅡ 북한 노동당이 인민대중이 아닌 수령 개인의 사유화된 조직으로 변질됐다고 전직 북한 간부 등 당원 출신 탈북민들이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심각한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당 창건 75주년 행사를 성대하게 준비하고 있지만, 쌀밥에 고깃국을 먹게 해주겠다는 60여 년 전 약속부터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습니..

[VOA 뉴스 투데이] 2020년 10월 9일(내퍼 국무부 부차관보 “외교적 해법 열려 있어…‘핵 문제’ 해결 전까지 대북 압박”)

[VOA 뉴스 투데이] 2020년 10월 9일 https://youtu.be/G3_xBib9w0g “외교적 해법 열려 있어…‘핵 문제’ 해결 전까지 압박” / “종전선언 ‘기존 입장’ 반복…필요성 의문” / “중·러·이란 ‘대선’ 위협국…북한은 영향력 없어” / 유엔 “북한 사산…지난해 3천여 건 발생” / “‘제재 위반’ 북한인…인도 거부 항소 기각” ㅡㅡㅡ 미국 국무부의 마크 내퍼 한국·일본 담당 부차관보는 미국 정부가 북한과의 외교적 해법에 열려 있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북한이 핵과 미사일 문제를 해결할 때까진 압박 캠페인이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남북 관계 발전에 대해서는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와 발걸음을 같이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ㅡㅡㅡ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비영리단체 코..

[VOA 모닝 뉴스] 2020년 10월 9일(미국 전문가들 "북한 ‘비핵화’ 안 할 것…‘체제 변혁’ 해법”)

[VOA 모닝 뉴스] 2020년 10월 9일 https://youtu.be/Ze-FCRBz9Tw "북한 ‘비핵화’ 안 할 것…‘체제 변혁’ 해법” / “트럼프 재선하면 ‘북한과 외교’ 볼 것” / “북한 노동당 75주년…목표는 주민 아닌 ‘권력’ 유지” / “문재인 ‘종전선언 협력·동참’ 거듭 강조” / “북한에 석유 불법 판매…타이완인 3명 기소” / “제재 대상 ‘북한 만수대 소속’ 작품 전시” ㅡㅡㅡ 미국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북한이 결코 비핵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굳어지면서 북한 정권의 변화만이 해법이라는 주장이 다시 나오고 있습니다. 북한 정권의 모순이 내부에서 폭발하도록 압박과 정보 유입을 대폭 늘려 체제 변혁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진단입니다. ㅡㅡㅡ 다음 달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되..

[VOA 뉴스]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 “중국 위협 대응…‘쿼드 단합’ 중요”

■[VOA 뉴스] “중국 위협 대응…‘쿼드 단합’ 중요” (VOA 한국어 '20.10.06) https://youtu.be/AKwgFWQE6Tw 일본을 방문한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은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등 4개국 회의 쿼드에 참석해 중국의 위협을 지적하면서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단합된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무부는 폼페오 장관의 한국 방문이 취소된 가운데 미한동맹을 강조했습니다. 김영교 기자입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

[VOA 뉴스 투데이] 2020년 10월 6일(“트럼프 퇴원…‘코로나’ 두려워 말라”)

[VOA 뉴스 투데이] 2020년 10월 6일 https://youtu.be/JjG5HWq2W5o “트럼프 퇴원…‘코로나’ 두려워 말라” / “북한 ‘사회기반시설’ 무너져…90년대 수준” / 미국 의회, ‘중국 압박’…북한 문제 ‘공조 vs 압박’ / 피살 공무원 아들, 한국 대통령에 자필 편지 호소 / “미한동맹 한반도 평화 핵심축…긴밀 소통” / MS “북한 ‘사이버 범죄’ 활동 4위” ㅡㅡㅡ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첨예화하는 상황에서 미국 의회가 중국을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 문제와 관련해서는 중국과 대립이 아니라 공조를 해야 한다는 의견과 중국 은행에 대한 3자 제재와 같은 추가 압박에 더 무게를 둬야 한다는 두 가지 기류가 있습니다. ㅡㅡㅡ 북한에 상주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