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일을 바꾸는 다섯가지 힘-기술발전, 세계화, 인구통계와 기대수명, 사회변동, 에네지 자원
우리의 직업군을 살펴보면 제조영역과 관리영역 그리고 유통영역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기술수준이 높아지면서 모든 영역이 서서히 고용없는 성장이 지속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세계적인 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은 그의 저서 《노동의 종말》에서 2020년경이 되면 로봇과 인공지능 등의 기술이 발달하면서 현재 노동력의 95%가 필요 없는 시대가 된다고 예측했습니다. 이 말의 의미는 인류 역사에서 노동의 95%가 사라진다는 말이 아닙니다. 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노동의 95%는 그 개념과 형태가 완전히 바뀐다는 말입니다.
급변하는 미래에 대비하려면 세상을 변화킬 중요한 다섯 가지 힘(기술발전, 세계화, 인구통계와 기대수명, 사회변동, 에네지 자원)을 깊이 이해하는 것은 물론 미래에 대한 시나리오를 미리 세워 이를 토대로 선택과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평소 소중히 여기던 기본 가정 중 일부가 틀렸음을 인정하고, 미래의 일에 대한 태도와 사고방식을 일부 바꿔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일에 흥미와 열의를 보일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도 일의 의미 및 가치를 일깨워줄 수 있습니다.
미래를 조금이라도 알게 되면 자신의 미래를 준비하는 것은 물론, 주위 사람들에게도 이전과는 다른 충고를 해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 가족, 친구, 공동체, 회사가 내리는 선택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어떤 역량을 개발할 것인지, 어떤 커뮤니티와 네트워크에 관심을 집중할 것인지, 혹은 어떤 회사 및 조직과 함께 일할 것인지 결정할 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일의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살아온 방식과 앞으로 살아갈 방식, 가족 구조, 소비 형태 등도 역시 그 대상입니다. 이렇게 넓은 관점을 택하는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지 못할 경우 일 또한 제대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일은 가족•기대치•희망으로 이뤄진 종합적인 맥락, 지역사회의 맥락 그리고 경제와 정치 구조 맥락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정보의 미로 속에서 자신의 길을 찿을 수 있도록 해 주는 미래의 확고한 사실들인 기술, 세계화, 인구변화, 사회변동, 자원고갈이라는 다섯 개의 큰 주제을 갖고 조합을 해 보세요. 미래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을 만드는 과정에서 다섯 개의 힘에 해당하는 각각의 사실 조각을 어떻게 활용할지는 전적으로 자신에게 달렸습니다.
미래에 영향을 미칠 조각 사실들을 분석할 때, 가장 어려운 일은 미래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패턴을 찿아내는 것입니다. 이 단계에 이르렀을 때 다음 단계로 이동해 미래를 준비하는 일과 커리어를 쌓는 데 필요한 것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수동적인 미래' 보다 '만들어 가는 미래(Cratted Future)'를 선택하고 싶을 것입니다. 어떻게 해야 올바른 길을 걸어갈 수 있을까요? 무엇이 올바른 길인지 이해하려면 미래의 모습에 대해 가능한 많은 정보와 지식을 갖춰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섯 가지 힘을 생각하며 느낄 불안과 염려가 반영되어 '수동적인 미래의 부정적인 시나리오'가 되어 파편화, 고립, 소외의 모습으로 보일 것입니다. 그러나 '능동적인 미래의 긍정적인 시나리오' 는 앞서 언급한 다섯 가지 힘과 관련된 사실들이 미래의 일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지 잘 보여줄 것입니다. 그 중심에는 창조적 협력과 사회 참여, 소기업가 정신 그리고 창의적 삶이 놓여 있습니다.
여기꺼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함께 있지만 모두가 홀로 있는 세상에 살고 있다 (0) | 2013.06.10 |
---|---|
소셜 큐레이션 시대, 수많은 큐레이터가 존재하는 소셜미디어 세계 (0) | 2013.06.08 |
[ESSAY]甲이 스스로 乙이 되다-조정민 목사·前언론인 (0) | 2013.05.30 |
미래의 일은 '전통적인 거래'에서 '미래 준비적인 거래'로 옮겨가야 한다 (0) | 2013.05.27 |
정보사회에서 창조사회로의 전환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전환에 버금가는 변화이다 (0) | 201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