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아이즈]이슈진단 '기업들 '창조 경제'에 사활 건다'
-"이제 '스펙'은 필요없다" 기업들, 미래형 인재 육성
뉴시스 2013.05.27(월)
“유치원에서는 놀이에 집중하고 자유롭게 생각하고 탐험할 시간을 주지만 학교에 가면 구조화되고 틀에 맞춘 공부가 진행된다. 이런 환경에서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융통성 있게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가 나오기 어렵다. 한국 역시 비슷한 아시아 문화와 교육 시스템을 갖고 있다.”
조이 이토(46)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미디어랩 연구소장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통섭형 인재 육성 방안에 대한 질문에 답한 내용이다.
◇ MIT 미디어랩 소장은 일본계 고졸
1985년에 설립된 MIT 미디어랩은 IT와 미디어, 예술, 의료 등 학문 간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창의적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자 잉크, 표정 짓는 로봇 등 여러 신기술을 선보이는 등 ‘꿈의 발전소’로 불리고 있다
<중략>
◇‘창조 역량’ 중국을 벤치마킹하라
우리나라의 통섭형 융합형 ‘창조인재’ 역량에 대한 외부의 평가는 가혹하달 정도로 낮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주요국 창조경제 역량지수 조사 결과 ICT(정보통신기술) 자본의 경우 한국이 OECD 31개국 가운데 1위를 차지한 반면, 인적자본 역량지수는 22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고속통신망 가입자 수 등 ICT 관련 인프라가 세계 1위를 차지하면서도 GDP 대비 1인당 공공교육지출, 고용률, 대학교육만족도, 교육시스템 수준 등을 지표로 한 인적자본 역량 지수 평가에서는 하위권에 머문 것이다.
기업들의 대학교육 만족도 또한 매우 낮은 편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분 만에 협동조합 만들기, 행복지수 1위의 나라인 덴마크에선 '흔한 일' (0) | 2013.05.27 |
---|---|
'시티 히피'가 많아지면 협동조합 같은 '창조경제' 많이 이뤄진다-김헌식 문화평론가 (0) | 2013.05.27 |
창조경제와 클라우드-이중현 더존비즈온 부사장 (0) | 2013.05.27 |
모바일 벤처기업 '제로웹', 공유경제의 모델 제시 (0) | 2013.05.26 |
`지식 재산`이 `실물 자산`을 넘어서는 사회 도래-박영균 세계미래포럼 대표 (0) | 201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