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여옥의 미래예측, ‘에너지문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인데일리 2013.04.26(금) 신여옥 대학생 기자
정확히 38년 이내에, 세계는 33억 명의 추가 인구를 위해 충분할 만큼 전기 생산력을 끌어올려야 한다. 오늘날 전기 없이 사는 사람들이 13억 명 (세계인구의 20%) 에 이르고 ,2050년까지 전세계 인구는 20억명이 추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필요에 맞추기 위해서는 노후된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하고 화석연료 발전소를 개조하거나 대체에너지 발전소로 대체해야 한다.
대략 30억 명의 인구가 여전히 취사와 난방을 위해 전통적 바이오매스 (열자원으로서의 식물체 및 동물 폐기물) 에 의지하고 있다.
세계의 발전이 계속 된다면, 2050년까지 우리의 에너지 수요는 예상을 초월할 것이다. 그러나 기술의 집중은 2050년 까지 오늘날 대다수가 가능하다고 믿고있는것 이상으로 에너지 효율성을 가속화 시킬것이다. 세계는 빠르게 더 안전한 에너지로의 전환과 부유해지는 인구의 에너지의 수요 증가 사이에서 경주를 하고있다.
<중략>
우리나라는 현재 세계9위의 에너지 소비국가로 에너지의 96%이상을 해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어려운 상황에 있다. 새로운 에너지 생성 방법을 개발하지 아니하면,미래 세계 에너지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국가 발전에 치명적인 저해요인이 될것이며 에너지 소비량은 상당히 줄어들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다가오는 미래는 생존을 위해 에너지를 절약해서 낭비되는 에너지가 없도록 해야 하며 더불어 태양광, 태양열,풍력 ,수력,조력 지열,바이오등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개발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글래스용 소프트웨어 '커널' 공개 (0) | 2013.04.29 |
---|---|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PC로 포털 안본다 (0) | 2013.04.29 |
[미래예측]新녹색혁명, 식량난의 해결책은 미래의 수직농장 (0) | 2013.04.28 |
대규모 3D 스캐닝할 수 있고 이미지를 3D 프린터로 물건 제작 가능 (0) | 2013.04.28 |
[새로운 TV 생태계 : 4K] 한국의 TV, 방송시장의 진정한 위기가 시작됐다 (0) | 201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