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국회서민·중소기업발전포럼]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와 중소기업의 미래

배셰태 2013. 3. 27. 09:13

"창조경제 위해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에 대한 정부 의지 절실"

뉴스토마토 2013.03.26(화)

 

<중략> 동영상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중소기업계가 주목받는 가운데 이를 위해 실패와 재도전이 용인되는 사회 분위기 조성,ICT기술과의 융·복합, 부처간 이기주의 지양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다소 애매하고 일반화되지 않은 '창조경제'논의 에 대해 그 정의와 방향을 설정해가는 단계라는 평가다.

 

국회서민·중소기업발전포럼은 27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와 중소기업의 미래' 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정부당국자와 중소기업계 종사자를 비롯해 국회의원 수십명이 포럼회장을 다녀가 중소기업 정책에 대한 각계각층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했다.

 

이날 주제발표를 진행한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과 교수는 창조경제의 의미가 다양하게 해석되는 만큼 확장성도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정책 추진, 연구개발(R&D) 선행 등을 창조경제의 조건으로 꼽았다.

 

김 교수는 이스라엘 모델을 예로 들며 "벤처캐피탈이 만들어내는 성과를 '디아스포라'라는 해외 네트워크가 판매해주는 것이 바로 이스라엘 경제의 핵심"이라고 전했다. 전날 중기청은 오는 7월 '이스라엘식 보육·투자시스템' 을 구축하기로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밝히기도 했다.

 

김 교수는 이어 "돈과 사람 기술 등 3대요소를 늘려주는 투입형 경제정책에서 혁신주도형 경제로 가는 것이 바로 창조경제의 모티브"라면서 "이를 위해 글로벌화 정책과 신기술 연구·개발이 활발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진행되어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