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2013.03.11 (월)
"편의점·구멍가게·통신 등 시행···가격 안정" 분석
재정부 관련법 시행 100일 조합신청 두달새 2배 늘어
협동조합이 물가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올해 관련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 협동조합 설립이 탄력을 받고 있다. 협동조합이 활성화되면 가격 거품이 꺼지고 다른 산업에 영향을 미치면서 가격 안정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협동조합을 통한 물가안정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재정부가 최근 내놓은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100일'을 보면 협동조합 신청건수는 2012년 12월 136건에서, 2013년 1월 224건으로, 2013년 2월에는 248건으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오는 2017년에는 약 8000∼1만개의 협동조합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중략>
거침없이 상승하고 있는 스마트폰 가격 안정에 나서는 협동조합도 있다. 인천에 출자금 1000만원으로 설립된 '협동조합 전국통신소비자'는 알뜰폰 등을 활용해 휴대폰 단말기 공동구매에 나선다. 통신비와 단말기 가격이 만만치 않은 상태에서 이 협동조합은 가격 구성을 따져보고 공동구매를 통한 가격 안정화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재정부는 오는 15일 물가관계회의를 진행하면서 '협동조합을 통한 물가안정'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앞으로 협동조합이 물가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실제로 협동조합이 활성화돼 있는 이탈리아 볼로냐와 스페인 몬드라곤의 경우 가격 거품이 없고 물가는 안정돼 있다. 몬드라곤의 경우 유통업체 협동조합인 에로스키는 최저가 판매로 물가안정에 기여하고 있다. 볼로냐에서는 협동조합에서 일을 하고, 물건을 사고, 여행을 하는 등 모든 일상생활이 이뤄진다. 조합원들이 직접 일하고 서비스를 받는 만큼 물건값이 웬만해서는 오르지 않는다.
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김성오 연구위원은 "인천의 통신협동조합의 경우 통신비 인하 운동에 본격 나서면 다른 업체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면서 "협동조합이 많이 만들어지면 그동안 차별과 소외받았던 분야가 제대로 자리를 잡고 가격 거품이 꺼지면서 전체 물가안정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수첩' 협동조합, 자본주의 시대의 새로운 대안인가? (0) | 2013.03.13 |
---|---|
생산자·소비자 같이 웃자…협동조합, 나도 만들어볼까? (0) | 2013.03.12 |
[창조경제] 복지와 성장, 둘 다 잡을 수 있다 (0) | 2013.03.11 |
퀵서비스도 구멍가게도… 협동조합 전성시대 (0) | 2013.03.11 |
법 시행 100일만에 협동조합 600여개…안착 성공 (0) | 201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