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012.10.15 (월)
무엇이든 나눠 쓰고 빌려 쓰고…전 분야로 확산
<중략>
바야흐로 공유경제(Sharing Economy) 시대다. 미국과 유럽에서 활성화한 공유경제가 드디어 한국에도 안착하는 모습이다. 서울시는 9월 20일 ‘공유도시 만들기’를 선언했다. 시민들이 재화, 재능, 공간을 나눠 씀으로써 주차난과 숙박난 같은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예산도 줄이겠다는 시도다. 서울시는 그 시작으로 11월부터 카셰어링 시범 서비스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주말에만 사용하는 차량이 33만 대 정도일 것으로 추산한다. 이 차량을 시민들이 함께 사용한다면 낭비를 줄이고 주차난도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예상한다. 서울시는 사업자에게 공영 주차공간 754개 면을 반값에 제공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공유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사이트 ‘공유도시 허브’도 구축한다.
카셰어링과 함께 공유경제의 대표적인 성공모델로 꼽히는 것이 빈방 셰어링이다. 미국 홈스테이식 숙박 서비스업체 에어비앤비(AirBnB)는 창업 5년 만에 회사 가치가 1조 원을 넘어섰다. 6월 기준 하루 동안 빈방을 빌려 쓴 여행객은 평균 3만8000여 명. 이 회사가 운영하는 사이트를 통해 192개국 2만7000여 개 도시에서 빈방을 빌릴 수 있다. 힐튼을 비롯한 세계적인 호텔 체인의 객실 규모를 능가하는 규모다. 국내에서도 코자자, 비앤비히어로 등이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중략>
공유경제 성공 열쇠는 자발적 참여
그렇다면 공유경제는 기존의 렌털서비스와 무엇이 다를까. 박 시장이 강조한 것처럼 공유경제는 참여를 기반으로 한다. ‘IT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라는 점도 큰 차이다. 한 예로, 렌터카 서비스는 업체가 모든 차량을 소유하고 고객이 대리점을 방문해 업체가 제시한 조건에 따라 하루 단위 계약을 해야 한다. 카셰어링도 지금은 렌터카 서비스와 비슷하게 업체가 서비스를 주도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카셰어링은 서울시가 계획하는 것처럼 일반인끼리 차량을 공유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같은 IT 인프라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주변의 빈 차를 검색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내는 것이 공유경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공유경제는 미래 예측에서 빠지지 않은 단어가 됐다. 미래학자들은 무조건 양적 팽창을 부르짖던 세계가 이제는 양적 성장을 조금 늦추고 공유경제 시대로 나아간다고 분석한다. 공유경제를 통해 더 적게 소유하지만 오히려 사용할 기회는 더 많아진다고도 얘기한다.
업계에서는 공유경제 모델이 더욱 확산하면, 산업이 플랫폼 위주로 재편되리라고 내다본다. 제조업 대부분이 소비자가 아닌 플랫폼 사업자에게 제품을 공급하는 생태계가 구축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 개인 고객은 점차 줄고 전국망을 보유한 카셰어링 서비스업체들이 자동차를 대량 주문한다면, 자동차 제조업체는 가격 흥정을 하더라도 서비스업체를 고객으로 확보하려 들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산업 생태계는 확연히 달라질 수밖에 없다. 제조 주도권이 제조업체가 아닌 플랫폼업체에 돌아가는 것이다. 방송사업자가 셋톱박스 기능을 선택해 대량구매 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처럼 상품 기능의 결정권도 대부분 플랫폼업체가 가질 수 있다. 제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유하는 'me 제너레이션' 넘어, 공유하는 'we 제너레이션' 시대 왔다 (0) | 2012.10.20 |
---|---|
불황극복의 새 대안, 공유경제 (0) | 2012.10.18 |
[공유경제/협동소비] 담대한 도전 ‘공유서울’ (0) | 2012.10.10 |
'공유경제' 내건 벤처, 기존 대여점과 다른 점은? (0) | 2012.10.06 |
Web 4.0 공유 경제-한양대학교 조병완 교수 (0) | 201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