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으로 중고물품을 거래할 때 자신의 전화번호를 기재한다든지, SNS상에서 모르는 사람에게 전화번호를 알려줘야 할 때 자신의 전화번호를 노출하는 것이 꺼려질 때가 있죠?
또 모르는 번호로 이벤트나 설문조사 참여 등의 목적으로 전화가 왔을 시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내 전화번호를 어떻게 알았지?" 라는 의심을 하게됩니다.
개인정보유출로 인한 개인정보보호에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대인 요즘, 이번 기사를 통해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정보 유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상번호의 원리를 살펴보자면 실제 번호에 가상 번호로 다이얼링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 또 다른 '가상번호'를 부여합니다. 그리고 가상번호로 전화를 연결하거나 문자를 보내면 가상번호에 대응된 실제 착신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번호로 직접 연결이 되어 연락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 가상번호는 실제 번호로 가기 위한 일종의 다리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상번호라는 용어 외에도 전화번호 보안서비스, 안심번호, 더블번호, 임시번호 등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전화번호 보안이 가능한 '가상번호'는 어떻게 부여받을까요?
기간별로 서비스요금을 부과하는 유료서비스부터 온라인상 다양하게 무료로 활용되는 가상번호까지 있는데요. 실제로 전화번호를 기재해야 하는 중고카페에서는 오래 전부터 이 가상번호 시스템을 글을 개재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택배상자에 기재된 개인 전화번호 유출로 인한 범죄가 우려되자 쇼핑몰에서도 배송자 정보에 전화번호를 가상번호로 대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택배운송장에 실제 고객 전화번호를 기재하지 않고 암호화 프로그램에 의해 변환된 가상전화번호를 운송장에 사용하는 '고객 전화번호 유출 차단 서비스'를 선보이며 소비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자 하였습니다.
가상번호의 유용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가상번호'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도 개발되었습니다. 바로 '투넘버 플러스'라는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이 앱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부여받은 하나의 번호를 더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요. 앱을 설치하고 본인 휴대폰임을 인증하면 자동으로 '가상번호'를 부여해줍니다. 자신의 실제 휴대전화 번호와 가상번호 둘 중에 하나를 ON하여 전화나 문자를 하게되면 선택한 번호로 상대방에게 연락이 가게 됩니다. 이 외에도 부여받은 번호는 랜덤으로 변경도 가능하다고 하니 전화번호 유출에 대한 걱정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 안드로이드 앱 용으로는 '쉿크릿 Call'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안심번호를 기본 1일에서 최대 30일까지 사용할 수있으며 이어 계속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심번호를 일시 중지하거나 다른 번호로 발급받을수도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잠깐!
가상번호는 내가 전화를 거는것인데 '전화가 가짜로 오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 해서 탄생한 어플리케이션 있습니다!
바로 'Fake-Call me'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늦은 회식자리에서 빠져나가고싶거나 난처한 자리에 끼게 되거나 피하고싶은 자리 혹은 소개팅에 나갔는데 상대방이 너무 마음에 안들때 '누가 전화한통 해줬으면 좋겠다...' 라고 생각하신적 없으신가요? 때로는 가족, 친구 혹은 연인에게 "5분뒤에 땡! 하면 전화줘", "전화걸고 아무말이나 해줘" 등의 부탁을 한번 쯤은 해 보셨을 텐데요.
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친절하게 거짓전화가 올 때 뜨게될 상대방 이름과 전화번호까지 설정할 수 있으니 정말 감쪽같이 전화오는 상황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위와같이 지금으로부터 몇분 후에 전화가 올지 까지 등록을 하고 Call Me를 클릭하고 대기를 하면됩니다. 또한 목소리는 나오지 않지만 통화시간도 자연스럽게 나타나기 때문에 유용하게 활용이 되곤 합니다. 가상번호를 활용한 기발한 사례라고 볼 수 있겠죠?!
생소한 듯 하지만 실생활에서 쉽게 접해볼 수 있는 '가상번호'. 그럼앞으로 앞으로는 차량 주차시나 급한 용무로 전화번호 노출이 불가피 할 경우, 각종 이벤트에 참여할 떄 전화번호 노출 시 광고문자로 인한 피해가 우려될 때 자신의 휴대전화를 대신해 사용할 수 있는 가상번호로 개인정보보호를 실천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두루누리 기자 - 정다애
diana24h@naver.com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모바일 OS별 시장점유율… 삼성전자 바다폰 점유율 183% 상승 (0) | 2012.02.13 |
---|---|
CJ헬로비전도 '아이폰' 판다, MVNO 단말 라인업 강화 (0) | 2012.02.13 |
민주통합당, MVNO · 주파수경매 폐지법안 발의 (0) | 2012.02.11 |
[스크랩] 유효기간 지난 소셜커머스 쿠폰, 포인트로 환급받자 (0) | 2012.02.09 |
[스크랩] 여수엑스포 안에 NFC 있다! (0) | 201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