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 통신 가입자 2000여명(지난달 중순 기준)… "시장 진입 만만찮네"
조선일보 2011.09.22 (목)
전체의 0.01%에도 못미쳐
지난 7월 국내 도입된 저가 통신사(일명 MVNO)의 상황은 썩 좋지 않다. 저가 통신사는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기존 통신사의 망을 빌려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음성통화나 문자 메시지와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만 운영해 기존 통신사에 비해 요금이 싸다. 도입 당시에는 요금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대거 저가 통신사로 옮겨갈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결과는 기대에 못 미친다.
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저가 통신 서비스 가입자 수(8월 중순 기준)는 아이즈비전 1600명, 한국케이블텔레콤(KCT) 410명으로 모두 2010명에 불과하다. 국내 휴대전화 가입자(약 5200만명·복수 가입 포함)의 0.01%에도 못 미친다.
이들이 영업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현재 시행 중인 요금제가 선불제밖에 없다는 점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국내 휴대전화 가입자 중 선불제를 쓰는 사람은 2%밖에 되지 않는다. 미리 돈을 내고 낸 만큼 전화를 쓰는 행태 자체가 낯설기 때문에 저가 통신 이용을 꺼린다는 것이다.
저가 통신사를 이용하려면 전화번호를 새로 받아야 하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기존 이동통신사끼리는 통신사를 바꿔도 쓰던 번호를 그대로 쓸 수 있는 '번호이동제'를 시행하고 있다. 저가 통신사는 내년 4월에야 번호이동제 대상이 된다. 이밖에 기존 통신사 중심으로 짜인 휴대전화 유통구조, 스마트폰 사용이 안 되는 환경 등도 저가 통신사의 시장 진입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저가 통신시장 진입을 서두르던 업체들도 숨 고르기를 하는 모습이다. 온세텔레콤은 당초 10월 중에 저가 통신사업을 시작하기로 했지만 올 연말로 사업 개시 시기를 늦췄다. 대성홀딩스도 지난 7월 저가 통신사 등록은 마쳤지만 실제 사업은 내년 초에 시작할 예정이다.
이동원 KCT 대외협력실장은 "국내 휴대전화시장은 보급률 100%를 넘은 포화시장이기 때문에 싼 가격만으로는 소비자를 유치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제도 개선이 없는 한 기존의 3사 구도를 깨기 쉽지 않다"고 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사용자 가입 전면 개방, SNS 판도 바뀔까? (0) | 2011.09.22 |
---|---|
SK텔레콤, SNS관리 ‘스마트 푸시’ 서비스 (0) | 2011.09.22 |
[2011국감]MVNO 선불가입자 겨우 2천명 (0) | 2011.09.22 |
[스크랩] `일단 친하고 봐야지` ... 소셜미디어에서도 드러나는 한국의 정서 (0) | 2011.09.22 |
[스크랩] ‘미래인터넷 발전 계획’ ... 5GB 급 대용량 HD 영화를 5초만에 댜운로드! (0) | 2011.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