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IT/과학 2011.07.05 (화)
이동통신재판매(MVNO) 사업자의 잇따른 등장에도 장비시장은 아직 기대 수준을 밑돌고 있다. 사업자들이 △과금 시스템 △가입자위치등록기(HLR) 등 비교적 간단한 시스템만 갖추면 가능한 부분MVNO사업에 치중하고 있는 반면에 △이동중계교환기(CGS) △단국교환기(MSC) 등을 추가로 구축해야 하는 완전MVNO 사업에는 시간을 두고 구축하겠다는 전략적인 판단을 내린 때문이다.
현재 완전MVNO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업자당 통상 1000억원 정도가 투입되는데 비해 부분MVNO의 경우 100억원 정도로 1/10 수준에 불과하다.
최근 들어 이같은 사업에 나서려는 사업자는 한국케이블텔레콤(KCT)를 필두로 대성그룹, 온세통신 등 10여개 업체.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티스타텔레콤, SK텔레콤과 MVNO 협정서 체결 (0) | 2011.07.05 |
---|---|
KCTㆍ몬티스타텔레콤, MVNO `산넘어 산` (0) | 2011.07.05 |
3D 프린터는 어떻게 사물을 인쇄할까 (0) | 2011.07.05 |
스캔서치 "증강현실 위에서 SNS로 소통" (0) | 2011.07.05 |
KCT, SKT와 협상 타결…MVNO 선불서비스 오늘(5일)부터 시작 (0) | 2011.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