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IT/과학 2011.05.25 (수)
이통사 단말기 지속 지원 미지수…바이러스 확산 등 우려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가 도입,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이동통신사업자 간의 경쟁 활성화를 비롯해 통신요금 절감을 앞세운 이 서비스는 최신 스마트폰이 잇따라 출시되며 가격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에겐 희소식이다. 그러나 MVNO 서비스로 제공할 재고 단말기는 중고폰도 폰이지만, 중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재고 단말기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도 우려되고 있다.
MVNO 사업에 따른 소비자들의 부담이 최소화될 전망이다. 요금인하의 기본 방향을 제시, 사업자 간 자율 협조에 따른 경쟁이 요금인하로 이어질 것이란 이유다.
MVNO는 주파수를 보유한 이동통신망사업자, SK텔레콤·KT·LG U+ 등의 망을 통해 주파수를 보유하지 않았음에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데이터 요금의 인하로 젊은 층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단말기 교체가 적은 중·장년층의 기본료를 절감하는 효과적이다.
<중략>
이에 대해 MVNO 사업자 관계자는 “MVNO 서비스에 제공될 재고단말기 중 중국산을 비롯해 해외 제품들이 지원된다”며 “바이러스 차단은 철저한 소프트웨어의 검증을 통해 이뤄질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앱스토어의 경우 승인하는 과정에서 필터 아웃을 통해 차단이 가능할 것이다”며 “중고 단말기는 마케팅의 수단으로 판촉의 개념으로서 가입자 유치에 사용할 수 있으나 판매의 개념은 아니다”고 밝혔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새 아이콘 "갤럭시S2를 따르라" (0) | 2011.05.25 |
---|---|
LG, '옵티머스 블랙' 무기로 女心잡기 나섰다 (0) | 2011.05.25 |
[요금해법 MVNO](상,중,하)요금인하, 이통 재판매가 열쇠 (0) | 2011.05.25 |
온세텔레콤, 10월 `선불 · 후불 · 번호이동` 되는 MVNO 시작 (0) | 2011.05.25 |
MVNO 이용하면 7월부터 휴대전화 요금 20% 싸진다 (0) | 2011.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