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화의 4차 산업혁명] 부의 증대·분배 순환구조 만들자
서울경제 2018.06.06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http://www.sedaily.com/NewsView/1S0PDHLY1P#_enliple
<85>혁신과 복지의 선순환
불평등 초래하는 '혁신의 역설'
결국 성장·복지 양날개로 가야
규제 개혁·노동유연성과 함께
일자리 안전망 등 마련 필요
150조원 규모의 복지예산이 국민총소득의 10%를 넘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국방비의 4배, 연구개발비의 8배에 육박하는 대한민국 복지정책 검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싸워서 뺏는 제로섬의 닫힌 경제는 키워서 나누는 플러스섬의 혁신경제에 항상 뒤처진다는 것이 역사의 교훈이다. 약탈의 스페인이 무역의 영국에 뒤진 이유이고, 계획경제가 시장경제에 뒤진 이유다. 혁신을 통해 국가 전체의 부가 커져야 국민의 삶이 윤택해진다는 것은 너무나도 자명한 결론일 것이다. 그런데 혁신을 통해 국부를 창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혁신의 보상은 결국 소득을 양극화시킨다. 혁신은 국가 전체의 부를 키우나, 국가 내의 부의 불평등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 혁신의 패러독스다.
혁신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불균형한 소득의 균형화가 필요하다. 지나친 부의 편재는 소비 수요를 위축시켜 경제공황을 초래했다. 소득 균형화를 위한 노력은 각종 사회보장이라는 직접적인 복지제공에서 시작했다. 그 정점인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영국의 슬로건 결과 북유럽 국가들을 포함한 복지국가들은 국가 전체가 침체병에 전염됐다.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많으면 파산이 당연한 귀결이 될 것이다.
결국 성장과 복지는 별개의 가치가 아니라 새의 두 날개와 같이 순환 가치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성장을 위한 복지이고 복지를 위한 성장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중략>
마지막으로 간과되지 말아야 할 복지는 혁신의 안전망이다. 혁신은 도전하는 기업가정신으로 꽃핀다. 그런데 한국에서 창업은 신용불량자로 가는 위험한 길이다. 청년들의 절반이 안전한 공무원을 지망하는 사회에서 혁신은 사라진다. 정직한 창업 실패의 재도전을 허용하는 혁신의 안전망이 필요한 이유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복지 정책] 인간 욕구와 복지의 3단계 (0) | 2018.06.14 |
---|---|
지방 부동산시장 무너뜨리는 인구절벽...한은 "일본의 지방소멸과 비슷" (0) | 2018.06.08 |
미국, 18년만의 최저 실업률(3.8%)…넘쳐나는 일자리에 '구인 전쟁' (0) | 2018.06.06 |
국책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최저임금 인상 부작용` 경고 (0) | 2018.06.04 |
[IWG 조사결과]세계 근로자들 고정된 근무환경 사라진다...70%가 원격 근무 (0) | 2018.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