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마이크 폼페오 “미북회담 개최 김정은에게 달려있어, 나쁜 합의는 옵션에 없어”

배세태 2018. 5. 24. 04:59

폼페오 “미북회담 개최 김정은에게 달려있어, 나쁜 합의는 옵션에 없어”

VOA 뉴스 2018.05.24 김영권 기자

https://www.voakorea.com/a/4406955.html

 

마이크 폼페오 미국 국무장관이 23일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북한 문제 등에 관해 증언하고 있다.

 

미-북 정상회담 개최 여부는 궁극적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달려있다고 마이크 폼페오 국무부 장관이 말했습니다. 또 나쁜 합의는 선택 사안에 없다며, 북한과 올바른 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협상장을 떠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을 때 북한 인권 문제도 직접 제기했다며 협상이 진전될 때 논의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략>

 

폼페오 장관이 23일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미-북 정상회담의 개최 여부는 “궁극적으로 김정은 위원장에게 달려있다”고 말했습니다.

 

<중략>

 

폼페오 장관은 “김 위원장이 정상회담을 제의했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그를 만나기로 동의해서 회담이 열리는 것”이라며 “이 역사적인 회담은 여전히 6월 12일로 예정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들에게 미-북 정상회담이 다음 달 12일에 열리지 않을 아주 상당한 가능성이 있다고 말해 회담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졌다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폼페오 장관은 그러나 이날 “정상회담이 열리기를 매우 희망한다”며 미 정부 여러 부처가 계속 회담 준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폼페오 장관은 이날 서면 보고서와 모두 발언에서 미국 국가안보의 최우선 사안은 북한의 비핵화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한반도 비핵화로 가는 (북한의) 신뢰할 수 있는 조치들이 있을 때까지 미국의 자세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중략>

 

또 북한 정권의 과거사에 대해 아주 잘 알고 있다며, 나쁜 합의는 선택 사안이 아니며 올바른 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회담장을 정중하게 떠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미국이 북한에 제시한 모델은 “빠른 비핵화”라며 돌이킬 수 없는 일련의 조치들이 있을 때까지 경제 제재를 완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략>

 

과거처럼 주고받기 방식을 하지 않을 것이고 오래 끌지도 않을 것이며 말과 약속이 아닌 북한 정권이 돌이킬 수 없는 조치들을 취할 때 비로소 북한 주민들을 도울 위대한 거래가 준비돼 있다는 겁니다.

 

한반도 비핵화 의미에 대해서는 미국을 위협하는 (핵)무기와 미사일 능력, 관련 기술, 우주 발사대와 연계된 엔진 시스템, 핵 물질, 이런 물질을 생산하는 기술, 핵 관련 모든 연구 개발이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민간 원자력 프로그램을 허용할지를 질문에, 미국은 그런 핵 물질을 농축할 능력을 북한이 갖는 게 부적절하다고 말해 왔다고 답변했습니다.

 

폼페오 장관은 협상의 핵심 부분은 비핵화를 위한 검증 체제가 될 것이라며, 이는 길고 어려운 과정이며 미국뿐 아니라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을 포함해 국제적인 노력이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대규모의 팀들(large teams)이 이미 검증 과정에 관해 일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미 정부에서 존 볼튼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자신 가운데 누가 미-북 정상회담을 담당하느냐는 질문에는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답했고 협상팀은 자신이 이끌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협상 준비 등 북한 사안에 관해 국무부의 여러 팀과 국방부, 에너지부, 백악관 국가안보실 등 미 정부 내 많은 팀이 이에 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서는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 등 여러 의원이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며 질문했습니다.

 

로이스 위원장은 특히 북한 정치범수용소의 “야만적인 환경”과 “인권 악몽” 등을 언급하며 미래 북한과의 어떤 경제적 개입도 북한 정권이 자국민들에게 이런 잔인한 학대를 계속 강화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하전략

==========================

[참고요]

▲ 카다피는 그래도 순순하게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를 즉각 받아들이고 그나마 8년의 시간을 번 후에 이렇게 죽었다. 어쨌든 현대 사회에서 인민을 괴롭히는 독재자의 운명은 비극 이외에 다른 길이 없다. 김일성과 김정일이 운좋게 피했다고 얘기하겠지만, 결국 손자, 자식이 그 운명을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시진핑과 그 가족들, 친구들도 어쩌면 피해갈 수 없을 운명일 수가 있다


 

▲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를 즉각 받아들이지 않으면 카다피가 아니라 후세인처럼 되는 것이 또한 6개월내로 김정은이 맞이할 운명이다. 시진핑은 눈치도 없는지 이런 비극적 운명을 앞둔 김정은과 덕담을 나누면서 미국인들의 반중감정을 더욱 부추기고 다니는 상황이다. 사실, 시진핑도 역시 류사오보 탄압 문제 때문에도 결코 좋은 결말을 맞이하기는 쉽지 않다. 일본 언론들은 시진핑이 암살당할 가능성을 진지하게 내다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