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박리다매’ 中 삼총사( 화훼이,오포,비보)에 포위당한 삼성전자 스마트폰

배세태 2017. 7. 16. 19:27

‘박리다매’ 中 삼총사에 포위당한 삼성 스마트폰

서울신문 2017.07.15 이경주 기자

http://m.zum.com/news/it/39156403


中 업체 성장 빠르고 가격 경쟁력 우위

 

 

중국의 3대 스마트폰 제조업체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올 1분기 삼성전자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싼 가격을 무기로 중국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세계시장에서도 맹추격을 하고 있는 것이다.

 

14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국 최대 스마트폰 제조사인 화훼이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9.8%로 나타났다. 오포는 7.8%, 비보는 6.2%를 차지하며 3개사가 23.8%를 기록, 삼성전자(22.7%)를 앞섰다. 3개사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2013년만 해도 7.2%로 삼성전자(32.3%)의 4분의1에도 못 미쳤지만 지난해 19.8%로 삼성전자(20.8%)를 턱밑까지 추격했다. 화웨이, 오포, 비보는 1위 삼성전자와 2위 애플에 이어 점유율 3~5위를 나란히 차지했다.

 

특히 중국 3사의 자국 내 점유율은 2013년 17.2%에서 올 1분기 54.4%까지 치솟았다. 반대로 삼성전자는 19.7%에서 3.1%로 급감하며 같은 기간 1위에서 8위로 밀려났다. 애플도 2015년 11.3%이던 중국 시장 점유율이 올 1분기 7.7%로 떨어졌다.

 

<중략>

 

삼성전자는 수출 대상국이 150여개 국가에 이를 만큼 다변화돼 있어 중국에서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20%대의 높은 세계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언제까지 유지될지 장담할 수 없다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

[참고요]

■[도서]삼성전자가 몰락해도 한국이 사는 길
- 노키아와 핀란드 사례를 통해 본 삼성의 미래, 한국의 미래


박상인 지음 | 2016.02.29
http://blog.daum.net/bstaebst/17154


[책소개]


삼성전자의 몰락은 삼성그룹을 넘어 한국 경제의 위기로 전이될 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삼성발 한국 경제의 위기, 이른바 ‘삼성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삼성전자가 몰락해도 한국이 사는 길』의 저자는 따라서 이러한 위기의 전이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해법으로 재벌의 소유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경제력 집중 완화와 금산 분리 정책,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이스라엘이 2013년에 단행한 재벌 개혁을 제시한다. 이스라엘이 실시한 재벌 개혁과 같은 구조적인 조치를 통해 재벌의 경제력 집중을 해소해야만 삼성전자의 몰락이 한국 경제의 위기로 전이되는 ‘삼성 리스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삼성 리스크에 대비한 정책적 대응의 핵심은 바로 재벌, 특히 삼성 재벌에 의한 경제력 집중의 해소여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