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북한, 14일 신형 ICBM 발사 성공…사거리 6천~8천km 추정

배세태 2017. 5. 14. 14:26

北 ICBM 버금가는 신형 미사일 가능성…사거리 6천~8천km 추정

뉴스1 2017.05.14 조규희 기자

http://news1.kr/articles/?2992884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북한이 14일 쏘아올린 미사일을 두고 신형 장거리 미사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한미 정보당국을 비롯 일본 정부는 이날 북한의 미사일이 비행거리 700~800㎞, 비행시간 30여분, 최대고도 2000㎞로 분석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이같은 수치를 근거로 신형 장거리 미사일이며 이는 곧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으로 봐야 한다는 공통된 의견을 내놨다. 통상 ICBM의 사거리는 5500㎞ 이상으로 분류되며 이날 발사된 미사일은 정상발사 사거리가 6000~8000㎞로 분석된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30분 이상 비행하고 최대고도가 2000㎞라면 ICBM이 아닐수가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기존 무수단 미사일 데이터를 근거로 이날 미사일을 분석한 결과"라면서 "미국 본토까지는 아니지만 미국 하와이까지 날아갈 수 있는 성능"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에서 미 본토까지의 거리는 1만㎞이상이며 괌은 6700㎞다.

 

<중략>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북극성-2형일 가능성을 배제하며 "ICBM에 버금가는 신형미사일일 가능성이 높으며 북한이 보유한 ICBM급 무수단 엔진 기반의 KN-08, KN-14 미사일 실험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장 교수는 "북극성-2형의 미사일 분석에 따르면 최대사거리가 2000~2300여㎞로 이 지역에서 2월에 발사를 했다고 해서 이번 미사일도 같은 것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이번 미사일은 정상적 비행 궤적을 고려하면 최대 6000㎞까지 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략>

 

김열수 성신여대 교수는 "이번 미사일은 최소 2000㎞에서 최대 8000㎞까지 사거리가 계산된다. 지난번 북극성-2형의 최대고도가 550㎞였는데 이날 분석한 2000㎞까지 올릴 필요가 없다"며 "북극성-2형은 최대사거리 3000㎞급으로 개발한 것인만큼 이번 미사일은 ICBM급 신형 장거리 미사일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