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들도 공부하게 하는 제4차 산업혁명 열풍”
한국대학신문 2017.04.28 황성원 기자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72516
- 낡은 교수법 OUT, 온·오프라인 융합 대세
교수들, 강의 콘텐츠 제작 배우기 위해 강단 아닌 ‘책상’으로
대학들, 각종 특강 마련해 ‘새로운 교수법’ 모색 도움
제4차 산업혁명의 역풍이 거세다. 공부 잘하는 인재보단 ‘다르게 생각하는 인재’를 더 선호한다. 전 세계 전문가들은 시대에 맞는 인재 양성을 위해선 낡은 교수법은 과감히 버리고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미 국내 대학가에선 이 같은 패러다임에 발맞추기 위한 교수들의 노력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특히 ‘온라인 콘텐츠 제작’에 관한 교수들의 관심이 높다. 대규모 온라인 공개수업인 무크(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수강생이 2015년 대비 2016년 약 1.6배 증가하면서 강좌수도 배로 늘며 더는 오프라인 교육만 고집할 수 없음이 증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다수 대학도 온·오프라인 융합 교육을 강조하며 교수들이 새로운 교수법을 발굴하는데 길을 터주고 있다.
<중략>
대학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역시 지난달 말 ‘제1회 대학 교수법 및 학습프로그램 공모전’을 열고 우수 교육 콘텐츠를 시상했다. 수상작은 소책자로 만들어 전국 대학에 배포할 예정이다. 정유석 경영지원실장은 “4차 산업혁명을 맞아 교육환경이 급변하고 있고 대학교 내에서도 교수학습법의 획기적 변화를 끌어내야 할 시점이 됐다”며 “이 때문에 교수와 학생들의 양 방향적 학습 참여와 학습 동기 유발 콘텐츠를 공유하는 공모전을 기획했다. 학교별로 교수들의 참여도 활발했다”고 밝혔다.
▲ 목원대 교수 70여 명이 이 대학 교수학습센터 주관으로 열린 ‘스마트 콘텐츠 제작기법과 효과적 수업 활용’ 특강을 듣고 있다. (제공=목원대 교수학습센터)
이 같은 교수들의 ‘새로운 교수법’에 관한 관심도 증가는 ‘시대적 흐름’이라는 게 전문가들 중론이다. 전상길 교수는 “백묵으로 칠판에 적으며 수업하던 시대는 지났다. 교수들이 창조적인 생각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온라인 수업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인재는 과거 대학이 선호했던 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라며 “단적으로 시대적으로 요구되는 창의성이라는 역량은 과거에도 중요했지만, 지금은 그 수준이 다르다. 나아가 4C(Creativity, Cooperation, Critical Thinking, Collaboration)라고 불리는 창의성·협동성·비판적 사고·협업능력이 4차 산업을 견인할 인재 양성의 핵심 키워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대부분 옛날 방식에 머물러있는 고등교육 교수법의 변화”라고 주장했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크루트 설문조사] 제4차 산업혁명, 일자리 얼마나 위협하고 있나 (0) | 2017.05.04 |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정치 빼고 모든 것이 스마트化 하는 세상 (0) | 2017.05.04 |
[제4차 산업혁명] 일자리, 높은 수준으로 진화한다 (0) | 2017.04.27 |
[제19대 대통령선거] 정치는 사양산업, 대한민국 미래를 예측한다! (0) | 2017.04.26 |
대한민국, 슬슬 끊는 ‘치킨 공화국’… 펄펄 끓는 ‘카페 천국’ (0) | 2017.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