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정책, 개발보다 융합·활용에 초점을

배셰태 2017. 4. 6. 08:37

[이민화의 4차 산업혁명] 개발보다 융합·활용에 초점을

서울경제 2017.04.05 이민화 창조경제연구이사회 이사장·KAIST 초빙교수

http://www.sedaily.com/NewsView/1OEJ1PFCE1

 

<27>기술정책

기술정책기술규제·융합 장벽 혁신 등

정부는 플랫폼 역할에 집중

기존 교육 패러다임도 대전환

창조·협력의 인재 육성 필요

 

현실과 가상이 융합하는 4차 산업혁명은 융합제도와 융합기술로 구현된다. 이 중 제도가 기술보다 중요도와 시급성·비용 측면에서 훨씬 더 우선순위에 있음은 이미 논의한 바 있다. 이제 제도에 이어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정책을 살펴보려 한다.

 

4차 산업혁명의 본질은 현실과 가상의 융합이고 기술은 그 수단이다. 4차 산업혁명을 개별기술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코끼리 다리를 만지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4차 산업혁명은 현실과 가상이 4단계로 융합해 인간을 위한 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이 본질이다. 즉 ①현실 세계를 디지털화해 ②클라우드에 빅데이터를 만들고 ③인공지능(AI)이 도출한 예측과 맞춤의 가치로 ④인간을 위한 현실 최적화를 달성한다는 것이 필자가 보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개요다. 현실을 가상화하는 디지털화 기술과 가상을 현실화하는 아날로그화 기술이 AI를 매개로 융합하는 기술 모델을 ‘AI와 12 기술 모델’이라고 명명한 바 있다.

 

기술에 관한 국가의 역할은 기술표준을 만들고 기술규제를 혁신하고 융합을 저해하는 진입 장벽을 걷어내고 초기 시장인 테스트베드를 형성해주는 플랫폼 역할에 집중돼야 한다는 것이 글로벌 패러다임이다.

 

<중략>

 

구체적으로 AI, 사물인터넷(IoT), 생체인터넷(IoB), 빅데이터, 3차원(3D) 프린터, 로봇, 증강·가상 현실,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디자인 등이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기술들이다. 그런데 이들 개별기술은 원칙적으로 시장에서 경쟁 발전해야 한다. 국가는 시장실패 영역에 국한해 개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국가에 중요한 것은 기술 개발보다 기술 활용인데 알파고 쇼크 이후 1년이 지난 지금도 AI의 활용은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기술이 수단이 아니라 목표라고 착각한 결과 AI 개발예산은 있는데 활용 정책은 없다.

 

4차 산업혁명에서 국가의 기술정책은 상용화 기술 개발 지원에서 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로 전환돼야 한다. 사회적 문제를 현실과 가상의 기술 융합으로 풀어내는 개방혁신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혁신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 교육·의료·관광·환경·에너지·국방 등 사회 각 분야의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와 대학·연구소·산업계가 개방·연결돼야 한다. 연결을 가로막는 진입 장벽과 규제 장벽을 없애고 연결을 촉진하는 기업가정신을 촉발시키는 것이 개방혁신 정책의 시작이다. 개방혁신을 확산시킬 이해관계자들을 고려한 주식 옵션과 공유 플랫폼 정책도 소중한 국가의 역할이다.

 

<중략>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정책은 개별기술 지원이 아니라 기술의 융합 활용을 촉진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