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화 칼럼] 4차 산업혁명은 클라우드 데이터 혁명이다
이투데이 2017.04.03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475789
4차 산업혁명의 국가 경쟁력은 융합 제도와 기술로 결정된다. 이 중 제도가 기술보다 중요하다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4차 산업 경쟁력 차이를 보면 명확해진다. 중국보다 6년 일찍 기술 개발한 핀텍과 15년 앞섰던 디지털헬스케어의 추락은 기술이 아니라 제도의 문제였다. 그런데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정책은 개별 기술 개발에 집중된 과거 정책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이 문제다.
이제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제도의 핵심 정책을 살펴보자.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이 4차 산업혁명의 최우선 국가 과제다. 3차 산업혁명이 서버 데이터 기반 혁명이었다면 4차 산업혁명은 클라우드 데이터 기반 혁명이다. 서버가 기업과 조직에 내재하는 소유의 관점이라면 클라우드는 외부와 개방 협력하는 공유의 관점이다. 개방 협력하는 국가와 각자도생 국가의 차이가 바로 4차 산업혁명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한다. 그런데 한국의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트래픽이 OECD 최하위 수준이라는 것은 한국이 이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ICT 후진국임을 의미한다. 클라우드에 축적된 빅 데이터가 4차 산업혁명의 국가 자산이요, 경쟁력이다. 인공지능의 능력은 데이터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왜 클라우드 중심의 4차 산업혁명으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가 살펴보면, 놀랍게도 국가가 서버 기반에서 클라우드 기반으로의 전환 장벽임이 드러난다. 몇 가지 사례들을 통해 문제를 살펴보자.
우선 개인정보 사례를 보자.
<중략>
두 번째로 산업정보 사례를 보자.
<중략>
세 번째로 공공정보 사례를 보자. 정부의 각 부처는 클라우드 활용이 원천 봉쇄되어 갈라파고스화하고 있다. 세종시 이전 이후 정부 생산성이 30% 이상 감소했다는 의견들이 있다. 고위 공무원과 현장 공무원의 업무가 단절된 결과다. 스마트 워크의 출발점인 클라우드 활용이 차단돼 있다. 미국의 정보기관과 국방부도 클라우드를 활용한다. 클라우드의 정보 보안이 분산 서버보다 우월하고 이제는 블록체인 기술이 보안을 견고화한다.
그런데 한국의 공공기관에는 보안 명목으로 클라우드 사용이 금지돼 조직 내부는 물론 국민과도 차단돼 있다. 국가 경쟁력이 추락하는 핵심 이유 중 하나가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차단이라고 단언한다. 4차 산업혁명은 클라우드 데이터 혁명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라 이베이코리아 부사장 "상품 아닌 '경험' 팔아야" (0) | 2017.04.06 |
---|---|
국내 첫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 3일 출범...지격변동 몰고 올까 (0) | 2017.04.04 |
애플과 구글 등 세계 IT 기업 상위 8곳의 시총이 4000조원에 육박 (0) | 2017.03.27 |
애플 시가총액 7천500억불(860조 원) 육박..'꿈의 1조불' 달성할까? (0) | 2017.03.23 |
'제4차 산업혁명' 일상으로 성큼… '로봇·인공지능(AI)' 실생활 속으로 (0) | 2017.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