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제4차 산업혁명과 4가지 지능(상황맥락·정서·영감·신체)

배셰태 2016. 11. 17. 17:52

4차 산업혁명과 4가지 지능

법률신문 2016.11.17 김우현 부장판사 (울산지법)

https://m.lawtimes.co.kr/Legal-Opinion/Legal-Opinion-View?serial=105782

 

<중략>

 

'4차 산업혁명'은 올해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의 주제로 선정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1차 산업혁명은 철도 건설과 증기기관의 발명을 바탕으로 기계에 의한 생산을 이끌었고 2차 산업혁명은 전기를 이용한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3차 산업혁명은 컴퓨터를 활용한 자동화된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제는 엄청난 속도의 과학기술의 발전과 융합을 통해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시스템 변화를 수반하는 4차 산업혁명의 초입에 들어섰다는 것이 세계경제포럼의 논의 내용이다.

 

각 단계의 산업혁명을 먼저 성공적으로 받아들인 나라가 막대한 부를 창출하며 선진국이 되었음은 역사를 통해 증명되었다. 세계 각국과 기업의 리더들이 4차 산업혁명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이다.

 

4차 산업혁명을 최초로 주창한 세계경제포럼 회장인 클라우스 슈밥은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해 4가지 지능을 키울 것을 강조한다.

 

먼저 인지한 것을 잘 이해하고 적용하는 '상황 맥락 지능'이다. 새로운 동향을 예측하고 단편적인 사실을 통합해 합당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으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의견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생각과 감정을 정리하고 결합해 타인과 협력 관계를 맺는 '정서 지능'이다. 정서 지능이 높은 리더가 이끄는 조직은 더욱 창의적인 성향을 띤다. 그리고 변화를 이끌고 공동의 이익을 꾀하기 위해 공유한 목적을 함께 발전시켜 나가는 '영감 지능'이다. 무엇보다 구성원 상호간의 신뢰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건강과 행복을 가꾸고 함양하는 '신체 지능' 이다. 신체 지능을 통해 큰 압박감 속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