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아이언맨' 일론 머스크....세상을 바꿀 혁신가인가, 꿈에 빠진 몽상가인가

배셰태 2016. 11. 7. 09:50

'아이언맨' 머스크, 혁신가인가 몽상가인가

조선일보 2016.11.07 박건형/강동철 기자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6110700024&l.facebook.com

 

[잇단 악재에 재평가 움직임]

무인차 사고로 운전자 사망, 스페이스X 로켓은 공중 폭발

태양광은 손실이 매출보다 많아… 월가 등 투자자들 돌아설 조짐

내년 테슬라 보급형 '모델3' 성공 여부에 머스크 미래 달려

 

세상을 바꿀 혁신가인가, 꿈에 빠진 몽상가인가.

 

미국의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Musk)에 대한 평가가 갈리기 시작했다. 머스크의 전기차와 우주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자와 대중의 열광이 '실적 없는 비전'으로만 연명한다는 우려로 바뀌고 있다.

 

실제로 머스크가 운영 중인 테슬라와 솔라시티(태양광), 스페이스X(우주개발) 중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기업은 하나도 없고 채권 발행, 은행 대출 등 부채 규모만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는 "머스크에 대한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아이언맨의 실제 모델'로 불리는 머스크가 날아오를지, 주저앉을지 결정될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혁신가', 월가에서는 '몽상가'

 

머스크에게는 최근 악재(惡材)가 잇따랐다. 지난 5월 테슬라의 자율주행차가 사고를 내면서 운전자가 사망했고, 9월에는 우주정거장으로 발사됐던 스페이스X의 로켓이 공중에서 폭발했다. 스페이스X는 폭발 원인 규명조차 하지 못한 채 로켓 발사를 무기한 연기한 상태이다.

 

더 심각한 것은 빚더미에 오른 테슬라의 재무구조다.

 

<중략>

 

 

시장 분위기도 낙관적이지 않다. 일본 도요타·닛산, 미국 GM, 독일 폴크스바겐·BMW 등 주요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70년 이상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온 기존 업체들이 전기차에 뛰어드는 것은 테슬라에 상당한 위협"이라고 분석했다.

 

<중략>

 

태양광 사업을 하는 솔라시티도 사업을 하면 할수록 손실 폭을 불리고 있다.

 

<중략>

 

투자자들도 돌아설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략>

 

◇매번 도전하는 창업가는 머스크뿐

 

투자자들 시각과는 달리 머스크의 대중적 인기는 여전하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 이후 최고의 혁신가로 대접받고 있다. 그를 돈방석에 앉게 해준 페이팔은 간편 결제 서비스의 원조(元祖)였고 전기차 대중화와 민간 우주산업도 머스크가 처음 개척했다. 페이팔 매각으로 번 돈을 몽땅 새 사업에 쏟아부었고 스페이스X를 설립할 때에는 독학으로 우주공학을 배워 로켓 설계와 디자인까지 주도했다. 독선적이라는 비판이 따라다니지만 일에 대한 열정은 누구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머스크의 미래가 내년에 테슬라가 출시하는 보급형 차종 '모델3'의 성공에 달려 있다고 본다. 테슬라가 돈을 벌어야 스페이스X와 솔라시티의 비전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양대 한상린 교수(경영학)는 "머스크는 인류의 미래를 앞당기는 혁신가이긴 하지만 비전뿐만 아니라 실적도 보여줘야 할 시점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