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중국의 자동차 굴기
오토타임즈 2016.11.05
http://m.autotimes.hankyung.com/contents.do?aid=201611041305111
.
중국 정부가 2025년까지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최대 20%까지 늘리고, 2030년까지 전체 자동차 가운데 완전 자율주행차 비중을 10%로 확대한다. 연간 2,500만대 신차 시장에서 10%인 250만대를 자율주행차로 바꾸겠다는 의미다. 완성차회사를 대부분 국유기업으로 운영하는 중국으로선 충분히 가능한 청사진이고, 이를 통해 자동차부문의 선두로 올라서겠다는 의지를 불태우는 중이다.
동시에 중국은 이동수단에 대한 에너지 전환 계획도 수립했다. 2020년까지 중국 내 최소 500만개, 2025년까지 2,000만개, 2030년에는 한국의 인구보다 월등히 많은 8,000만개의 EV 충전소를 건립키로 했다. 250만대에 달하는 자율주행차의 에너지로 전기를 쓰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힌 셈이다. 그리고 1회 충전 후 주행거리도 2020년까지 300㎞, 2030년에는 500㎞의 거리를 설정했다.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시장에서 퇴출한다는 내부적인 목표도 세웠다. 정부 주도 하에 자동차 혁신을 강하게 끌고 나간다는 의미다.
이런 결정이 나자 글로벌 모든 완성차업체들이 또 다시 중국에서 기회를 엿보고 있다. 자율주행차 시장으로는 최대 규모가 형성될 수 있어서다.
<중략>
그래서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이 앞 다퉈 내놓는 자율주행차의 최대 격전지는 중국이 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시장 규모가 큰 데다 소비자들의 자율주행차, 그리고 전기 에너지에 대한 기대가 높아서다.
<중략>
이처럼 중국의 자동차 굴기는 이제 내연기관을 벗어나 4차 산업혁명의 대표로 꼽히는 새로운 에너지원의 자율주행차로 바뀌고 있다. 게다가 거대 규모의 시장을 정부 주도로 바꾸면 미국을 넘어서는 자율주행차 천국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그런데 중국의 자동차굴기는 한국에게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 자동차의 헤게모니 트렌드가 자율주행과 전력으로 이동할수록 중국 내 완성차업체의 경쟁력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내연기관 엔진의 연소율을 높이는 것보다 동력원을 바꾸고 지능을 심는 것이 곧 중국의 자동차 굴기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사실 답은 이미 나와 있다. 다만, 행보가 느릴 뿐이다. 그리고 행보에 속도를 부여하는 것은 정부의 몫이다. 자율주행차의 인프라를 누가 먼저 갖추느냐에 따라 보급 확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EV 충전기 설치도 더딘 상황에서 한국 내 자율주행 보급을 꿈꾼다면 그것이야말로 꿈에 불과할 따름이다. 하지만 반대로 꿈은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현실로 바꿀 수도 있다.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가? 이제는 정부가 답을 내놓아야 할 때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언맨' 일론 머스크....세상을 바꿀 혁신가인가, 꿈에 빠진 몽상가인가 (0) | 2016.11.07 |
---|---|
삼성전자, 2년도 안돼 中시장 1→6위 '급락'...스마트폰 대책 마련 시급 (0) | 2016.11.07 |
[구름 위 전쟁] 구글의 또 다른 야망, 클라우드 컴퓨팅 (0) | 2016.11.05 |
제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는 첫 단계....6대 디지털화 기술 (0) | 2016.11.05 |
안드로이드 OS, 전 세계 점유율 87.5%…구글폰 '픽셀'까지 가세 (0) | 2016.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