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휴대폰 사업 30년 최대 '위기'…갤노트7 참사 미스터리의 시작은
조선일보 2016/10/12 박성우/황민규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0/12/2016101200595.html
갤럭시 신화(神話)가 무너졌다. 최악의 타이밍이었다. 삼성전자의 ‘대(大)화면’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가 연말 최대 성수기를 앞두고 ‘단종(斷種)’의 운명을 맞았다. 출시 59일만이다. 애플의 심장을 정조준하겠다는 갤럭시노트7의 꿈도 날아갔다. 최고의 기대작의 허망한 퇴장이었다.
삼성전자의 휴대폰 사업도 30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갤럭시노트7이 배터리 발화, 전량 리콜, 판매 재개, 생산 판매 중단 등의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품질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에 금이 갔다. 삼성전자는 연간 3억대 이상의 휴대폰을 파는 세계 1위 휴대폰 사업자다.
1995년 휴대폰, 팩시밀리 등 15만대를 불태우는 눈물의 화형식으로 품질 경영을 다진 삼성전자였다. 2007년 아이폰 등장으로 모토로라, 노키아 등이 차례로 퇴출되는 상황에서 살아남은 삼성전자였다. 외부의 공격이 아닌 스스로 무너진 갤럭시노트7의 비극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내년 3월 출시되는 갤럭시S8이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 실적주의에 내재화 욕심...곳곳에서 나온 참사의 ‘전조’
“잘못된 관행과 시스템을 만든 우리(무선사업부) 모두의 문제입니다.” 지난달 사상 초유의 대규모 리콜에 이어 갤럭시노트7 단종이 결정된 11일 삼성전자 사내 게시판에는 무선사업부 직원들이 반성과 사과를 담은 게시물이 줄지었다. 주목할 점은 수년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가 만들어온 시스템과 관행에 대한 반성이 적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직원은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는)고동진 사장을 비롯한 특정인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의 시스템을 만든 우리 모두의 문제”라고 말했다.
<중략>
업계에서도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제품을 기획해 생산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과도한 실적주의가 품질저하를 초래해왔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략>
부품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 핵심부품에 대한 구매 방식을 3개월마다 물량과 단가를 공개 입찰하는 방식으로 바꾸면서 사실상 최저가 업체로 선정되어야만 부품을 납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신제품 속도전에 과부하 걸려
삼성전자는 발 빠른 정보통신기술(ICT)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그동안 제품을 가장 빨리 출시할 수 있는 사업구조를 운용해 왔다. 엣지 디스플레이, 홍채인식, 방수 등 매년 빠르게 신기술을 도입한 신제품으로 라인업을 다양화해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삼성전자의 경쟁력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속도전’이 결과적으로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중략>
갤럭시노트7 제품을 분해한 모습 /IFIXIT 홈페이지 캡처
<중략>
◆ 갤럭시8 카드로 명성 되찾으려면...복잡 네트워크 관리할 품질 2.0 필요
삼성전자는 내년 초 나올 갤럭시S8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갤럭시노트7의 단종을 전격 결정했다. 배터리 발화 문제를 질질 끌 경우 삼성전자 브랜드 자체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규제 당국에 떠밀려서가 아니라 삼성전자가 소비자의 안전을 고려해 자발적으로 생산을 중단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부품 내재화와 속도전에 매몰된 현재의 시스템을 외부 협력을 강화하고 복잡해진 부품 공급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품질 2.0 시스템 체제로 개선하지 않으면 갤럭시S8 이후 시리즈에도 위기는 반복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마트폰의 부품 집적도는 계속 높아지고 있고 금융 결제와 클라우드 등 스마트폰 내에서 돌아가는 소프트웨어도 갈수록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과 교수는 “그동안 삼성전자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패스트 팔로어 전략 이 제대로 작동했기 때문”이라며 “모든 제조업이 비슷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생산량을 초과하게 될 경우 서플라이 체인이 복잡해지고 실적을 맞춰야 한다는 압박감 등에 의해 제조 프로세스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갤럭시 시리즈의 신화는 어떻게 탄생했나>
<중략>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일류화에 시동을 걸기 위해 구글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시작한다. 2010년 구글과 협력해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갤럭시S’를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애플이 독식하던 스마트폰 시장의 구조가 아이폰과 갤럭시의 양강체제로 바뀔지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보다 천배 빠른 5G의 상용화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4차 산업혁명’ (0) | 2016.10.12 |
---|---|
삼성전자, 갤럭시노트 7 판매 중단...연말 특수는 애플·구글 차지 (0) | 2016.10.12 |
[옴니채널 시대] 60조원 온라인 유통시장…脫영역 지각변동 예고 (0) | 2016.10.11 |
구글, "삼성전자, 애플 잡겠다"…스마트폰 '픽셀' 마케팅 공세 (0) | 2016.10.11 |
[제4차 산업혁명] `레드퀸 효과` 벗어나려면 지금보다 두 배는 더 빨리 달려야 (0) | 2016.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