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의 비밀: 미래의 섹스, 데이트, 짝 찾기. 기하급수적 기술들이 앞으로 섹스와 관련된 관계들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는 이야기해볼 가치가 있다
인데일리 2016.10.12 박영숙 세계미래회의 한국대표
미래의 섹스, 데이트, 짝 찾기- 피터 디아맨디스
섹스는 인간의 가장 강력하고 기초적인 충동이다. 섹스는 전쟁을 일으키고 왕국을 건설하기도, 파괴하기도 한다. 섹스는 모든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근거를 토대로 하여 기하급수적 기술들이 앞으로 섹스와 관련된 관계들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를 이야기해볼 가치가 있다.
이 글(파트 1/2)는 미래의 섹스, 데이트, 짝 찾기에 관한 글이다. 다음주, 파트 2/2에서는 인간의 생식의 미래에 관해 더 깊게 이야기하고자 한다.
인터넷 세대의 데이트
<중략>
기하급수적 기술과 데이트
<중략>
기하급수적 기술과 섹스
오늘날 섹스는 디지털화 되고 있다, 비물질화되고 민주화되며 본질을 잃고 있다. 포르노그래피 형태의 섹스는 인터넷 연결과 만연한 플랫폼으로 인해 무료로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5년에 하나의 포르노 사이트에서는 자기 사이트의 이용자들이 연간 43억 시간의 포르노(870억 개의 영상)을 이용했다고 밝혔다.
인터넷 연결이 어디에서나 이로우지고 온라인 비디오 플레이어와 스트리밍, 휴대폰, 광고 네트워크 등이 포르노그래피 산업을 연간 970억 달러 규모로 성장시키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다수의 부정적인 사회현상을 유발한다.
절반 이상의 남자 아이와 1/3에 가까운 여자 아이가 13세 이전에 처음으로 포르노 이미지를 보게 된다. 수백 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18세 이전에 포르노를 본 소년은 93%, 소녀들은 6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더스푼연구소의 질 매닝 박사는 이렇게 말했다. ‘포르노그래피는 십대들의 언어부터 성에 대한 프레임, 신체 부분에 피어싱을 하는 방법과 이유, 친밀한 관계에서 주고받기를 원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영향을 준다.’
일본에서는 진짜 여자 친구보다 ‘가상의 여자 친구’를 더 선호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더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16세에서 24세 사이의 일본 독신 여성의 45%와 독신 남성의 25%는 성적 접촉에 흥미가 없다고 말했다. 이러한 추세로 볼 때 출산율의 높일 수 있는 어떤 일이 일어나지 않는 한 일본의 인구는 지금부터 2060년까지 1/3이 감소된다. 심각한 인구 부족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는 의미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가상현실이 널리 보급되게 되면 가장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는 필연적으로 가상현실 포르노가 된다. 가상현실 포르노는 더욱 자극적이고 생생하며 중독적이다. 그리고 인공지능이 온라인에 도입되면 영화 ‘그녀(Her)’나 ‘엑스 마키나(Ex Machina)’에 묘사된 캐릭터처럼,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한 아바타와 로봇과의 관계가 급증하게 된다.
영향
가상현실 포르노는 더 많은 섹스, 더 나은 섹스, 끝이 없고 더욱 새로운 섹스로 가상현실을 가득 채운다. 그러나 어두운 진실은 사용자들이 이러한 판타지 세계로 더 깊숙이 들어갈수록 현실은 점점 더 멀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많은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가상현실 포르노는 성적 욕구와 실제 세계의 쾌감을 무디게 만들며 섹스에 점점 더 만족하지 못하게 만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가상현실은 로봇, 센서, 인공지능과 같은 다른 기하급수적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친밀감과 인간관계를 완전히 대체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들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저렴하게 수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으며, 스스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가지 사실은 분명하다. 역사적으로 인쇄기부터 비디오 플레이어,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모든 기술들의 선두에는 포르노그래피가 있었고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자금을 제공해 주었다는 사실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0조원 위험천만… 4대 변수로 바라본 가계부채 - 하나금융경영연구소 (0) | 2016.10.12 |
---|---|
소외된 90%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혁신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 가자 (0) | 2016.10.12 |
[세계지식포럼] 북한에 선제적 군사행동, 한목소리 낸 미국 보수·진보 실력자들 (0) | 2016.10.11 |
[세계지식포럼] 웬디 셔먼 전 美정무차관 “사드 배치, 중국 견제 목적 아니다” (0) | 2016.10.11 |
[대혁신의 길] 지식의 향연, `제17회 세계지식포럼`오늘 개막 (0) | 2016.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