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차량 공유 서비스 확대...택시 보단 카풀 집중
지디넷코리아 2016.09.30 황치규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60930162743&type=det&re=
<중략>
월스트리트저널(WSJ), 테크크런치 등 외신들은 29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 지역에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이제 기존 웨이즈 앱 이나 별도로 제작된 '웨이즈 라이더'앱을 내려받아 운전자들에게 탑승을 호출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다.
<중략>
현재 시점에서 웨이즈 라이더는 우버나 리프트 같은 차량 공유 서비스와는 운영 방식이 다르다. 우버와 리프트는 택시 서비스지만 웨이즈는 출퇴근시 카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같은 방향으로 가는 운전자와 탑승자를 연결시켜주는 것이 핵심이다.
구글은 웨이즈 카풀 서비스에 가입한 운전자와 승객 모두에게 하루 두번 탑승만 가능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출퇴근때만 이용하도록 의도한 듯 하다. 이런 상황에서 운전자들이 웨이즈 라이더만으로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 구글이 이렇게 한 것은 규제 이슈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WSJ은 전했다.
■구글, 우버랑 정면 승부 돌입한다… 차량공유 서비스 '웨이즈 라이더' 개시
아시아경제 2016.09.30 이민우 기자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93009392011343
카풀 서비스 '웨이즈 라이더'. 美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시
우버, 리프트 등 차량공유 서비스와 정면 승부
<중략>
웨이즈라이더 운전자는 하루에 2번만 운영할 수 있다. 또한 가격도 1마일 당 54센트(약 600원)로 고정돼있다. 이 같은 제약 때문에 운전자가 큰 수익을 올리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WSJ는 언제든지 이를 우회할 방법이 있다고 지적했다. 웨이즈라이더에 등록할 때 필요한 것은 집 주소, 직장 주소, 출퇴근 일정이 전부다. 웨이즈는 이 정보를 비교 확인하거나 보험 가입 여부, 자동차 사진을 요구하는 등의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아 운행 규정을 얼마든지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웨이즈 라이더 앱에서 운전자 정보 중 나타나는 것은 목적지와 빈 좌석 뿐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경제] 기업가치 약 78조원의 우버를 통해 본 산업과 소비의 미래 (0) | 2016.10.04 |
---|---|
[공유경제] 구글, 우버랑 정면 승부...차량공유 서비스 '웨이즈 라이더' 개시 (0) | 2016.10.01 |
[제레미 리프킨의 협력적 공유사회] 협력과 공유…음악이 답이다 (0) | 2016.09.28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공유경제 '규제개선-제도적 지원' 절실 - 여의도연구원 (0) | 2016.09.24 |
[피츠버그 실험] 우버 자율주행차에는 센서ᆞ레이더ᆞ카메라가 있다 (0) | 2016.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