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4차 산업혁명, 이미 시작됐다… ‘2016국민미래포럼’ 21일 개최
국민일보 2016.09.18 김지방 기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618691&code=11151400&cp=nv
‘신기술+산업’ 창조적 변화 국내 최고 석학·학자들 정책·산업 주역들과 토론
■[국민미래포럼] 굴뚝 삼킨 인공지능… 산업경계도 허문다
국민일보 2016.09.18 글=정현수 기자/그래픽=이은지 기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618014&code=11151400&cp=nv
무인자동차·드론·IoT… 제조업 덮치는 4차 산업혁명
지난 3월 인공지능(AI) 프로그램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은 인류에 충격으로 다가왔다. 그동안 축적된 세상의 모든 기보 데이터를 토대로 스스로 학습한 알파고는 대국마다 이세돌을 몰아붙였다.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최적의 수를 찾아내는 인공지능의 위력을 전 세계가 눈으로 확인하며, 그것이 불러올 미래상을 확실히 느낄 수 있는 순간이었다.
앞서 지난 1월 스위스에서 열린 2016년 다보스포럼에선 이런 변화를 두고 본격적인 논의가 있었다.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AI 등을 기반으로 물리·디지털·생물학 기술의 경계를 허무는 ‘4차 산업혁명’이 주요 의제였다.
아직까지도 4차 산업혁명이 어떻게 실현될지 의견이 분분하지만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인 것은 분명하다.
사이버물리시스템으로 변하는 제조방식
변화는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에서부터 시작된다. 흔히 공장은 컨베이어 벨트 앞에 늘어선 근로자 또는 기계가 부품들을 조립하는 모습이 떠오른다. 그러나 이런 선형적 생산방식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찾아보기 힘들 전망이다. 컨베이어 벨트 위에 있던 부품들은 스마트카트에 담겨 스스로 다음 공정을 찾아 이동한다. 이른바 모듈별 공정으로, 모든 부품과 공정기계가 IoT로 연결되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 기술이 기반이 된다.
자원의 낭비는 최소화된다. 예컨대 과거에는 특정 기계가 고장 나면 라인 전체가 움직일 수 없었다. 반면 모듈별 공정에서는 한 기계가 고장 나면, 부품을 담은 스마트카트는 다른 기계 또는 공정을 스스로 선택한다. 모든 기계와 부품이 통신을 주고받으며 최적의 생산방식을 찾아 효율적으로 움직인다. 여기에 AI가 탑재된 각 공정기계는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징후를 인식하고 스스로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낸다.
제너럴일렉트릭(GE)은 이미 이런 CPS 기술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를 만들었고, 독일은 2011년부터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이름 아래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완성된 제품은 무인운송수단으로 고객에게 전달된다. 자율주행자동차와 무인 드론 등이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AI가 카메라 등 센서를 통해 주변 상황을 순식간에 연산해 최적의 노선을 찾아내게 된다.
이런 변화는 비단 물류유통뿐 아니라 일반 운전자에게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맥킨지 연구에 따르면 미국 기준 자율주행차로 인한 시간 절약은 하루 10억 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시간 동안 운전자들이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하면 분당 50억 유로에 해당하는 디지털 미디어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계산도 나왔다.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맞춤생산으로
제조방식이 달라지면서 제품도 바뀐다
<중략>
생물학 발전과 유전공학 혁명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또 다른 한 축은 생물학이다. 생물학의 발전이 물리학·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접목되면서 인류는 각종 질병의 위험에서 해방될 수 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차 산업혁명 ] 인공지능( AI)에서 O2O까지…혁명의 시작 (0) | 2016.09.20 |
---|---|
[제4차 산업혁명] 신인류 시대, 로봇이 지구를 물려받을 것인가 (0) | 2016.09.20 |
[인터넷 거버넌스] 글로벌 패권전쟁 뜨거운데.. 입장조차 못 정한 한국 (0) | 2016.09.18 |
[핀테크 잡는 규제 ①~⑤] 네거티브 규제 필요...신성장 동력 될 수 있어 (0) | 2016.09.18 |
[아이폰7 시리즈 초대박] 애플, 15일 종가기준 시가총액 약 714조원으로 급등 (0) | 2016.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