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AI는 인간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서울신문 2016.09.05 박종익 기자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905601012&wlog_tag3=naver
과연 AI(인공지능)는 인류의 친구가 될까? 아니면 적이 될까?
최근 미국 스탠포드 대학과 전세계 AI 과학자들이 힘을 합쳐 AI 기술의 미래방향에 대한 예측 보고서를 발표해 관심을 끌고 있다.
‘100년 인공지능 연구'(AI100)라는 장기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스탠포드 대학은 그간의 연구실적을 모아 '2030년 인공지능과 삶'(ArtificialIntelligence and Life in 2030)이라는 2만 8000단어로 구성된 장문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AI 기술이 2030년이 되면 (북미) 도시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예측한 내용을 담고 있다. AI100이 전망한 분야는 크게 8가지로 각각 교통(Transportation), 홈서비스 로봇(Home/service robots), 헬스케어(Healthcare), 교육(Education),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빈곤 지역(Low-resourcecommunities), 공공안전과 보안(Public safetyand security), 고용과 작업장(Employmentand workplace) 등이다.
이중 14년 후 다가올 첫번째 눈에 띄는 분야는 바로 교통이다. AI100은 2030년이 되면 무인자동차와 트럭, 무인 항공기 배송 시스템이 도시인들의 출퇴근, 가정, 직장, 상점 등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패턴을 크게 바꿀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현재 각 가정에 로봇 진공청소기가 보편화된 것처럼 2030년이 되면 청소 전문 로봇이 집을 청소하며 보안 서비스 역시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개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하는 기기가 보편화되며 대화형 가정교사 로봇이 학생들의 언어 뿐 아니라 수학과 여러 기술도 가르칠 것으로 내다봤다.
물론 긍정적이면서도 부정적인 전망도 있다. 카메라와 드론 등으로 각종 정보를 취합한 AI가 인간의 범죄 패턴을 분석해 안전을 높이지만 반대로 자유와 존엄을 해칠 가능성도 제기됐다. 또한 그간 많은 연구단체들이 제기한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점도 언급됐지만 데이터 분석가 등 이와 관련된 새로운일자리등장도 예측됐다.
AI100 위원회 의장 바바라 그로츠 하버드 대학 교수는 "AI 기술은 믿을 만하고 대체로 유익하다"면서 "AI를 적절히 설계하고 배치하면 불합리한 공포와 의심을 신뢰로 바꿔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AI100 패널 멤버인 피터 스톤 텍사스 대학 교수도 "우리 알고있는 AI는 대부분 SF 소설책과 영화에서 나온 이야기"라면서 "이번 연구는 AI가 실제로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토론하는 공론의 장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의 인터넷은 8가지 원인적 인자로 작용이나 영역이 달라진다 (0) | 2016.09.06 |
---|---|
[싱귤래리티 서밋] 자율주행차가 세상을 바꾼다 - 브래드 템플튼 (0) | 2016.09.06 |
삼성전자, 흥행 조급증이 폭발시킨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0) | 2016.09.06 |
구글, 조립식 스마트폰 개발 중단...하드웨어 전략 변화 움직임 (0) | 2016.09.04 |
구글, 조립식 스마트폰 '아라' 프로젝트 중단 (0) | 2016.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