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일한 만큼…미국 '인스턴트 급여' 확산
한국경제 2016.07.05 이정선 기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70595241&intype=1
미국의 차량 공유서비스업체 리프트에 고용된 운전자들은 급여체계에서 일반적인 1~2주 단위의 봉급을 기다리지 않고 그날그날 현금으로 지급받는다. 리프트는 지난해 11월부터 이 방식을 도입했다. 전체 운전자 중 3분의 1 이상이 일(日) 지급식을 적용받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긱(Gig) 경제’가 확산되면서 전통적 개념의 기업 봉급체계가 무너지고 근로자들이 벌어들인 소득을 바로 현금으로 지급하는 ‘인스턴트(instant) 급여’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긱 경제란 산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사람을 구해 임시로 계약을 맺고 일을 맡기는 형태를 말한다.
NYT는 “성장 속도가 빨라 임시직 등의 직원 채용 규모를 늘리고 있는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등에서 인스턴트 급여 방식이 퍼지고 있다”며 “공장, 병원, 콜센터 등 유연한 시간제 근로자에게도 적합한 방식”이라고 진단했다.
리프트의 경쟁회사 우버도 지난 3월 운전자에게 직불카드로 수시로 급여를 인출해 갈 수 있도록 했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경제 기업 '우버' 나 GE 처럼 생존을 위한 필수요소 ‘디지털전환’ (0) | 2016.07.06 |
---|---|
공유경제와 인공지능, 융합 등이 핵심인 제4차 산업혁명, 더 늦기 전에 준비해야 (0) | 2016.07.06 |
한국내 O2O, 규제 등으로 대부분 공유경제 모델 아닌 온디맨드 서비스 (0) | 2016.07.04 |
공유경제의 두 얼굴 -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0) | 2016.07.04 |
[창조경제연구회] 고대권 코스리 부소장 “공유경제 가치, 기업가정신 고민해야” (0) | 2016.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