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칼럼]플랫폼으로의 인공지능에 주목해야 한다
주간경향 2016.06.01 류한석 류한석기술문화연구소 소장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6&artid=201605311029301&pt=nv
최근 공중파, 신문 등 각종 미디어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기사가 쏟아지고 있다. 알파고로 인해 꽤 뒤늦은 각성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디어에서는 주로 인공지능의 활용 사례나 전망 등을 다루고 있는데, 인공지능의 핵심적인 기술이자 비즈니스 모델인 ‘플랫폼으로서의 인공지능’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특히 기반형 플랫폼으로서의 인공지능에 주목해야 한다. 기반형 플랫폼이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즉, 단지 단위 기능이 아니라 ‘플랫폼으로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인공지능 기능을 얼마나 탁월하고 신속하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가?’ 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현 시점에서 가장 완성도와 인지도가 높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활발한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IBM의 왓슨(Watson)을 꼽을 수 있다. IBM은 2011년 헬스케어 산업용으로 왓슨을 상업화하고, 2012년부터는 금융을 비롯한 모든 산업에서 왓슨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본격적으로 플랫폼화를 한 상태다.
IBM과 힐튼 호텔이 함께 만든 왓슨 기반의 호텔 컨시어지 코니(Connie).
<중략>
인공지능 분야에서 IBM의 강력한 경쟁상대는 구글이다.
<중략>
이러한 구글의 인공지능 경쟁력은 전문업체들의 인수·합병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 규모의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프라 보유 및 운용 역량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중략>
인공지능 플랫폼과 관련된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건 당연히 중요한 일이다. 그건 기본이다. 그런데 그보다 더욱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과제는 해당 플랫폼에 기반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일이다. 해당 플랫폼에 충실한 외부 개발자들을 보다 많이 확보해야 하고, 그들이 자발적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내야 한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기반형 플랫폼으로서의 인공지능은 안드로이드, iOS 등과 같은 운영체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한다. 즉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확보하고 이를 더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할수록 강력한 ‘규모의 경제’가 작용해 다른 플랫폼들을 압도하는 경쟁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날이 오면 시장에서는 2~3개의 인공지능 플랫폼만 유의미한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머지않은 미래의 얘기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의 시가총액, 10~20년 내 810조원 달할 것 (0) | 2016.06.09 |
---|---|
자본시장연구원 "중국 핀테크, 정부 규제없어 폭발적 성장 가능" (0) | 2016.06.09 |
[제4차 산업혁명] AI 시대는 거부할 수 없는 숙명...인류 삶 180도 달라진다 (0) | 2016.06.08 |
새 먹거리 찾아 뛰어드는 대기업…온라인·오프라인 연계 서비스(O2O) 확대 (0) | 2016.06.08 |
[제4차 산업혁명] 인류 최후의 戰場 `인공지능`...글로벌 기업 각축전 돌입 (0) | 2016.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