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 하라리 "AI 발전으로 '잉여인간' 수십억명 생긴다"
연합뉴스 2016.04.29(금) 최평천 기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4/29/0200000000AKR20160429113200004.HTML?input=1195m
"정치인들 리더 아닌 매니저에 머물러..비전 제시 못 해"
■"인간이 쓸모 없어질 시대…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
머니투데이/테크엠 2016.04.27(수) 도강호 기자
http://techm.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2023
'사피언스' 저자 유발 하라리 교수가 밝히는 미래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30에코포럼 창립기념식’에서 최재천 국립생태원장(왼쪽부터),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유발 하라리 교수가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이제 무노동 계급 나타날지도 모른다. 공산주의나 자유주의 같은 산업시대로부터 물려받은 모든 이데올로기가 전혀 작용하지 못할 것이다. 새로운 모델이 있어야 새로운 시대의 문제를 풀 수 있다.”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 이스라엘 예루살렘히브리대 교수는 기계가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을 머지않은 미래에는 새로운 시대의 질문에 맞는 새로운 생각과 대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피엔스는 인간 종의 역사를 살펴보고 미래를 전망하는 내용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고 있는 책이다.
<중략>
하라리 교수는 “인공지능(AI)이 공장의 노동자, 택시운전사, 심지어 선생님까지 대체할 것”이라며 “발전한 미래에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마저도 AI가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라리 교수는 또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날 것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가상현실 디자이너 같은 사람들이 필요해질 수 있다”면서도 “미래의 인간이 인공지능보다 이런 일을 잘 할 것이라고 보장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결국 하라리 교수에 따르면 일하지 않는 사람의 등장은 필연적이다. 문제는 사회가 무노동 계급을 어떻게 다뤄야할지 모른다는 점이다.
하라리 교수는 “새로운 계급이 출현하면 사회는 어떻게 해야 할지를 걱정한다”며 “산명혁명기에도 새로운 노동자 계급이 출현했을 때, 사람들은 앞 시대에서 물려받은 성경이나 코란과 같은 것에서 답을 찾으려고 했지만 실패했다”고 말했다. 새로운 시대에는 새로운 문제를 풀 수 있는 이데올로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데올로기, 종교, 돈, 경제, 신화 등 인간이 만들어낸 추상적인 것들을 ‘이야기’로 지칭하는 하라리 교수는 “새로운 이야기가 21세기를 지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고 “‘데이터교’라는 새로운 이야기는 실리콘밸리로부터 나올 것”으로 내다봤다. '데이터교’는 전체 우주가 데이터의 흐름이라고 믿는 것이다.
하라리 교수는 “우주에서 인간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의 일부일 뿐”이라며 “인간이 할 일은 최고의 데이터 흐름, 최고의 알고리즘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와 융화되고, 알고리즘을 만들어 전 세계에 퍼트리는 것이 인간의 일”이라는 것이다.
하라리 교수는 또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누가 제어할 것인가라는 질문이 있다”며 “가장 귀중한 자원인 데이터가 소수에 의해 독점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인간이 멸종하지 않더라도 불평등의 시대가 올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략>
한편, 하라리 교수는 현재 교육 제도의 불합리함을 지적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교육제도는 젊은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수하는 교육을 하지만, 앞으로 직면할 세상에는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하라리 교수는 “과거에는 어릴 때 배우고 성인이 되면 배운 것을 활용한다고 분리해서 생각했다”며 “21세기는 변화의 속도가 빠를 것이고 꾸준히 배우며 스스로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략>
"대학생 등 젊은이들에게 좋은 직업을 얻기 위해 지금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아무도 답을 줄 수 없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사피엔스' 저자 이스라엘 사학자 유발 노아 하라리(40)는 2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4차 혁명으로 일자리가 없어진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을 경고했다.
하라리 교수는 “그만큼 산업시대로 물려받은 교육제도를 융통성있게 바꾸는 것도 큰 과제”라고 지적했다.
===========
[관련도서]
■사피엔스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유발 하라리 지음 | 김영사 펴냄 | 2015.11.24 출간
http://blog.daum.net/bstaebst/17261
■인간은 필요 없다
- 인공지능 시대의 부와 노동의 미래
제리 카플란 지음 | 출판사 한스미디어 | 2016.01.29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소득] 김대식 KAIST 교수 “AI 시대···기계처럼 일한다면 위험하다” (0) | 2016.05.01 |
---|---|
'사피엔스' 저자 유발 하라리 "AI 발전으로 '잉여인간' 수십억명 생긴다" (0) | 2016.04.30 |
[저금리·고령화 사회] 최고의 노후대비는 '나만의 기술'…은퇴 5년 전부터 하라 (0) | 2016.04.29 |
[정부 ‘신산업 육성’] 중후장대 산업으론 불가능...4차 산업혁명 대비해야 (0) | 2016.04.28 |
[정부 ‘신산업 육성’] ‘제4차 산업혁명’ 시동… 대기업 `낙수효과` 여전 (0) | 2016.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