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정부 ‘신산업 육성’] 중후장대 산업으론 불가능...4차 산업혁명 대비해야

배셰태 2016. 4. 28. 21:59

[신산업 R&D투자땐 稅지원]

"중후장대만으론 안된다"...민간투자 유도 '4차 산업혁명' 대비

서울경제 2016.04.28(목) 김정곤 기자

http://www.sedaily.com/NewsView/1KV7QDA35Z


산업구조 재편 속도, 대만·말聯에도 뒤처져
로봇·바이오 등 신성장동력에 집중 투자지원
상반기 업종 선정...투자 막는 규제도 풀기로



조선·철강 등 중후장대(重厚長大) 산업은 과거 우리나라 산업화의 1등 공신이었다. 막대한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등 전후방 연관 효과를 바탕으로 우리 경제를 이끌어왔다. 하지만 지금은 구조조정 대상의 1순위인 취약업종 리스트에 올라 있다.


28일 정부가 신(新)산업 육성을 골자로 한 산업개혁 지원방안을 들고 나온 것은 구조적인 저성장 기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서는 산업 경쟁력 제고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절박한 인식이 담겨 있다.


이찬우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세계 각국은 신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규제완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구조조정 및 산업재편과 함께 신사업에 대한 중장기 투자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투자를 가로막는 핵심규제 완화도 필수다. 정부는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규제프리존특별법의 조속한 입법을 통해 신산업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법안 통과가 필요 없는 과제는 오는 6월 말까지 법령 개정 등을 통해 걸림돌을 없애줄 예정이다.


◇대만·말레이시아에도 뒤진 4차 산업혁명 준비


=전 세계는 로봇·바이오 등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거세게 밀려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는 미흡하기만 하다. 지난 1월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포럼에서 UBS가 발표한 4차 산업혁명 적응도를 보면 우리나라의 순위는 25위다. 이는 대만(16위), 말레이시아(22위), 체코(24위)에도 뒤진다.


중후장대 산업의 의존도를 줄이고 산업구조를 글로벌 환경 변화에 맞춰 새롭게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그동안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는 지체 상태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도한 규제나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 등으로 투자는 부진했고 미래 먹거리와 직결되는 R&D 투자는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다.


<중략>


◇민간이 선투자 나설 수 있도록 파격적 세제지원


<중략>


정부 지원 대상이 될 신산업은 심층평가가 진행 중이며 올해 상반기 안에 선정된다. 정부나 민간이 유망하다고 보는 신산업으로는 지능형로봇, 착용형 스마트기기, 스마트카, 5G 이동통신, 신재생 하이브리드,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이다. 정부는 지난해 19대 미래 성장동력 산업과 에너지 신산업, 신소재, 고급 소비재, 바이오헬스, 정보통신기술(ICT) 제조융합 등 5대 신산업 등을 유망 산업으로 선정한 바 있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이 중에는 중복되는 사업도 있다”며 “빨리 육성해야 할 필요가 있는 산업, 시장 파급 효과가 큰 산업을 위주로 상반기 중 10여개로 추릴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