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다보스가 주목한 `제4차 산업혁명`
매일경제 2016.01.25(월) 강성모 KAIST 총장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09&aid=0003670685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16&no=69687
2016년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에 다녀왔다. 46회째를 맞는 총회에서는 작은 이변이 하나 있었다. 참석 인사의 성별에 따라 '다보스 맨' 혹은 '다보스 우먼'이라고 부르는 관례가 있는데, 올해는 총회 사상 최초로 인간이 아닌 참가자가 등장한 것이다. 바로 KAIST의 인공지능 로봇 휴보(HUBO)다. 주최 측에선 휴보를 공식 참가자로 인정하고 출입증까지 발급해줬는데, 미국 블룸버그는 이젠 '다보스 로봇'을 맞을 준비를 해야 한다며 상세하게 보도했을 정도다.
작년 국제가전박람회(CES)에서 선보인 자율주행자동차를 떠올려보라. 고도의 인공지능 기기들이 일상으로 들어올 시대가 머지않았다. 사물인터넷(IoT)으로 연결되어 초고속으로 계산하고 판단하고 명령을 내리는 시대엔 인간의 삶이 대대적으로 달라질 것이다. 속도는 유례없이 빠를 것이며 범위와 깊이를 예측한다는 것 자체가 오만한 발상일 것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한 변혁이란 말로밖에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우리가 맞닥뜨리게 될 '제4차 산업혁명 이다.
이런 고민을 관통하는 화두가 올해 다보스포럼의 주제인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다. 워낙 광범위한 주제이다 보니 전망이 분분한 것이 대체적인 분위기다. 정보통신망의 발달로 촉발되는 변혁이니 만큼 자본과 지식을 가진 사람들의 사회가 구성되면 중산층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는 반면 기계가 대체하는 일이 늘어날수록 인간은 보다 가치 있는 일에 노동력을 투자하는 사회로 변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확실한 점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IoT의 발달이 경계의 붕괴를 일으킬 것이란 사실이다. 국가의 지정학적 위치나 국토의 규모, 자원의 보유 여부보다는 빅데이터를 최적화하고 신속하게 응용하는 힘이 곧 국력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도 이와 다르지 않다. 우리는 ICT 분야의 탄탄한 기본기를 다져놓았다. 그러나 미래의 주도권을 선점하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민관 협력 체계의 강화가 필요하다. 민과 관의 역할이라 분리하여 규정지어 왔던 것들에 대해 파괴적 혁신을 단행해야 한다. 상생하여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이라면 관례를 넘어서는 영역까지도 생각을 확장해보고 그것이 타당하다는 합의가 이뤄진다면 과감한 탈피를 단행해야 한다.
<중략>
다수의 국가가 참여하는 공동체가 인류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갈 것이며 그 관계에 발 들일 수 없다면 국내 산업이나 시장은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
대한민국은 무서운 속도로 변화하게 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할 토양이 마련되어 있는가. 산업과 학계, 정부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국제사회의 신임받는 파트너가 될 준비가 되어 있는가. 과학기술을 토대로 국제시장을 겨냥한 창업을 활성화시킬 구체적 방안은 마련되어 있는가. 이번 다보스포럼이 우리에게 던진 질문이다. 사회 전체가 공감하는 명확한 해답과 방향성이 제시되어야 할 때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틀거리는 한국경제] 대표기업들의 추락…현대차 19%↓ SK하이닉스 41%↓ (0) | 2016.01.27 |
---|---|
'직업의 종말’ 선언한 테크부호 5인의 기업들이 만들 일자리는 몇개가 될까 (0) | 2016.01.26 |
[다보스포럼 2016] 제4차 산업혁명(기술융합)發 ‘대변혁’…일자리엔 재앙 (0) | 2016.01.26 |
[제4차 산업혁명] 로봇 상사와 일하는 시대, 아이들에게 무얼 가르쳐야 할까 (0) | 2016.01.25 |
2050년이 되면 우리 직장은 어떻게 달라질까? (0) | 2016.01.25 |